국제유가가 3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미국과 유럽연합(EU) 간 무역갈등이 고조되면서 글로벌 경기 둔화와 원유 수요 위축 우려가 동시에 커진 영향이다.
22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0.99달러(1.47%) 하락한 배럴당 66.2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브렌트유 9월물도 0.62달러(0.90%) 내린 68.59달러에 마감했다.
이날 유가는 WTI 8월물 만기를 앞두고 포지션 이월이 이어졌고, 위험자산 전반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약세를 보였다. 시장은 특히 미국과 EU 간 무역협상이 다음달 마감 시한을 앞두고 교착 상태에 빠져 있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기한 내 합의가 없을 경우 EU 대부분 수출품에 대해 최대 3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한 상태다. EU 측은 협상 타결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광범위한 보복 조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과 인도 간 갈등도 격화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농산물과 유제품을 둘러싼 이견으로 인해 양국이 다음달 초까지 무역 합의에 도달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도했다. 미국은 인도산 제품에 대해 26%의 고율 관세를 예고한 상황이다.
시장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시한을 유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봤다. 리터부시앤에소시에이츠는 “관세 이슈가 유가의 핵심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고 진단했고, 조 드라우라 라보뱅크 에너지 전략가는 “4분기 이후 공급 과잉 우려도 유가 하방 압력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달러 약세는 유가 하락을 일부 제한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달러 가치가 주요 통화 대비 하락하면서, 다른 통화를 보유한 국가들의 원유 구매 비용이 줄어든 덕이다. IG마켓의 토니 시카모어 애널리스트는 “무역 불확실성과 달러 약세가 서로 맞물리며 유가가 방향성을 잡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혜인 기자 he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