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국제스트리밍페스티벌(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 국제방송영상마켓(문화체육관광부)에 같은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FAST) 사업자들이 연사로 등장했습니다. 부처 협력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방증 아닐까요.”
한 업계 관계자 말처럼 FAST는 방송·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잇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부상했다. 국내에서는 아직 영향력이 크지 않지만 해외에서는 유료방송 요금 부담과 OTT 성장 둔화를 틈타 FAST가 급성장하고 있다. K콘텐츠 확산의 새로운 기회로 주목받고 있으며 정부도 이를 글로벌 전략 플랫폼으로 보고 지원에 나서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K-FAST 얼라이언스'를 출범시키고 인공지능(AI) 더빙 지원 사업을 추진 중이다. 문체부도 FAST 정책 연구를 본격화했다. 국제 스트리밍페스티벌과 국제방송영상마켓에서는 FAST 서밋과 비즈니스 밋업이 이어지며 산업적 가치와 글로벌 유통 가능성이 부각됐다.
문제는 과거 OTT처럼 기회를 놓쳐선 안 된다는 점이다. 넷플릭스와 유튜브가 국내 시장을 장악하는 동안 토종 OTT는 정책 혼선과 규제 불확실성 속에 힘을 쓰지 못했다. 관할이 과기정통부, 방송통신위원회, 문체부로 흩어지며 중복과 갈등이 이어졌고, 정부가 진흥보다 관할권 확보에 치중한 결과 사업자들에게 혼선을 안겼다는 게 업계 평가다.
국회가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를 신설하는 미디어 거버넌스 개편에 나서고 있지만 OTT와 FAST 같은 핵심 플랫폼은 여전히 단일 관리 체계 밖에 있다. 미디어발전민관협의회 논의만으로는 속도가 더딜 수밖에 없다. 이런 혼선이 이어진다면 FAST 역시 또다시 산업적 기회를 살리지 못하고 뒷전으로 밀릴 수 있다.
내부적으로 들여다보면 FAST에 관여하려는 각 부처마다 명분이 왜 없겠는가. 그러나 외부에서 바라보는 국민 눈에는 정부 부처들이 소위 뜨는 산업에 권한 하나라도 더 쥐려 밥그릇 싸움을 벌이는 듯 보일 수 있다. FAST를 K콘텐츠 도약의 발판으로 삼을지 아니면 또 하나의 관할 다툼 사례로 남길지는 결국 지금의 선택에 달려 있다.
권혜미 기자 hyemi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