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산제련소 466곳 점검·사각지대 순찰 투입
로봇·드론 등 활용한 AI 통합 점검 체계 구축 목표
“안전 사각지대 해소한 ‘스마트 제련소’ 구현할 것”
고려아연은 보스턴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 4족보행 로봇 ‘스팟(Spot)’을 온산제련소 현장에 배치했다고 5일 밝혔다. 업계 최초로 로봇을 현장에 도입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스마트 제련소를 구현한다는 취지다.
스팟은 사람이 접근하기 위험하거나 어려운 현장을 다니면서 다양한 센서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공유한다. 현재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BMW, 미쉐린, 카길, 글로벌파운드리, 시머링발전소, 브라운대학교 등 전 세계 유수 기업과 기관 등이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 국내도 GS건설, 포스코 등이 작업현장에서 스팟을 운영하고 있다.
고려아연은 스팟에게 현장 관리 역할을 부여했다. 초음파 센서와 적외선 카메라, 유해가스 감지기, 음향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활용해 온산제련소 내 466개 점검 포인트와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사각지대를 순찰한다고 한다. 주요 임무로는 설비 온도 측정과 가스 유추 및 누액 감지 등 위험요소 저검, 차량 이동이 잦은 구간 충돌 방지, 현장 실시간 정보 공유와 경보 등이 있다.고려아연 관계자는 “여러 업체 로봇을 비교한 결과 보스턴다이내믹스 스팟이 온도와 소음, 진동 측정 등 온산제련소 관리 역할에 필요한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어 도입을 결정했다”며 “현재 연 정련 공정 등에서 경로를 학습하면서 자율적으로 이동하고 있고 향후 다른 공장 투입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려아연은 테스트 운영을 거쳐 스팟의 주요 업무를 가스 중독과 질식 위험 등을 감지하고 점검하는 분야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공정 변화가 잦은 제련소 특성을 고려해 설비 구조나 배관 환경 변화를 시각적으로 추적·관리할 수 있도록 360도 회전 카메라 탑재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열화상카메라와 가스 정량 측정 센서 등을 추가로 장착해 실시간 데이터 연동형 제어 시스템 통합도 추진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로봇과 드론, 자율주행차 등을 활용한 AI 기술 기반 통합 점검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이번 스팟 도입으로 온산제련소 내 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선제적 위험 예방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기존 안전 점검 인력 업무 피로도를 낮추고 작업 만족도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스팟 도입은 현장 안전관리 분야 혁신을 위한 첫걸음으로 앞으로도 무재해, 무사고 현장 실현을 위해 적극적으로 최신 기술을 도입하고 현장 근무 여건과 환경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김민범 기자 mbkim@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