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인권문제로 韓기업 첫 제재

2 days ago 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내 최대 염전업체인 태평염전에서 생산된 소금에 대해 미국이 인권 문제를 이유로 수입 금지 조치를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은 해당 염전에서 불법적인 노동 착취가 발생했다고 밝혔으며, 이는 한국 기업에 대한 첫 번째 강제노동 관련 수입 금지 사례이다.

태평염전 측은 관련 사건 이후 계약 해지 및 재발 방지 조치를 이행하고 있다고 전했지만, 대미 수출 규모는 연평균 5000만 원으로 크지 않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국내 최대 염전업체 태평염전
강제노동 이유, 소금 수입금지
사측 "문제 임차인 사법조치"

국내 최대 규모 염전업체인 태평염전이 생산한 소금에 대해 미국이 수입 금지 조치를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염전에서 노동자에게 협박, 사기, 폭행, 신분증 압류 등을 가한 사실이 확인됐다는 이유에서다. 미국 정부가 강제노동 등 인권 문제를 이유로 한국 기업에 수입 금지 조치를 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6일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에 따르면 전남 신안군 증도면 소재 태평염전에서 생산된 소금은 지난 2일(현지시간)부터 미국 전역 항구에서 수입이 중단됐다. CBP는 홈페이지를 통해 해당 염전에서 불법적인 노동 착취가 발생해 이곳에서 생산된 소금 수입을 보류한다며 이번 조치의 배경을 밝혔다. 지금까지 미국이 수입 금지 조치를 내린 나라는 한국을 포함해 중국, 소말리아, 짐바브웨 등 13개국이다.

앞서 2022년 태평염전은 천일염 생산업체에 임대해준 일부 용지에서 고용주가 지적장애인 등을 학대하고 '염전 노예'로 부린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됐다. 이후 염전 임차인은 법원에서 유죄 선고와 징역 5년 등 처벌을 받았다. 태평염전 관계자는 "관련 사건이 발생한 뒤 임차인과 계약을 곧바로 해지했다"며 "태평염전은 검찰 수사에서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고 밝혔다. 당시 국내 인권단체들은 장애인을 착취해 만든 소금으로 기업이 돈을 버는 것이 부당하다며 미국 정부에 태평염전과 이를 사용하는 식품 대기업에 대해 제재 조치를 내릴 것을 요청했다. 다만 태평염전의 대미 수출 규모는 연평균 5000만원 규모로 크지 않다. 태평염전 관계자는 "현재 해당 염전은 휴업 중"이라고 말했다. 또 태평염전 측은 노동자 숙소를 건립하는 등 재발 방지 조치를 이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심희진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