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과 7차 관세 협상도 성과 없자… 트럼프 “매우 버릇없다” 직격

17 hours ago 3

[美, 우방 日에도 거친 압박] “30% 또는 35%” 고율 관세 시사
“우린 10년간 日에 車 한대 못팔아”… 日협상단, 베선트도 못 만난채 귀국
日, 즉각적 반응 삼간채 “협의 계속”
전통우방 때리며 ‘예외없다’ 경고… “협상 막판 양보 얻으려 압박” 분석도

‘악어 감옥’ 찾아간 트럼프 “불법이민자 탈출구는 추방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1일 ‘악어 감옥’으로 불리는 플로리다주 에버글레이즈의 불법이민자 구금 시설을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장관(왼쪽에서 두 번째),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오른쪽에서 두 번째) 등과 둘러보고 있다. 시설이 악어, 비단뱀 등이 서식하는 늪지대에 자리해 이런 별명이 붙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곳을 빠져나가는 유일한 길은 ‘추방’뿐”이라며 불법 이민자 근절 의지를 강조했다. 에버글레이즈=AP 뉴시스

‘악어 감옥’ 찾아간 트럼프 “불법이민자 탈출구는 추방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1일 ‘악어 감옥’으로 불리는 플로리다주 에버글레이즈의 불법이민자 구금 시설을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장관(왼쪽에서 두 번째),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오른쪽에서 두 번째) 등과 둘러보고 있다. 시설이 악어, 비단뱀 등이 서식하는 늪지대에 자리해 이런 별명이 붙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곳을 빠져나가는 유일한 길은 ‘추방’뿐”이라며 불법 이민자 근절 의지를 강조했다. 에버글레이즈=AP 뉴시스
“그들(일본)은 매우 버릇이 없다(very spoile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 시간)에도 또 한 번 일본을 콕 집어 거론하며 무역협상에 대한 불만을 쏟아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우린 일본에 자동차를 거의 수출하지 못한다”고 직격했고, 지난달 30일엔 일본이 민감해 하는 쌀 수입 문제까지 언급했다. 수개월째 7차례의 무역협상을 진행했음에도 뚜렷한 성과가 없자 연일 일본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동시에 다른 국가에도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고 빠른 무역 합의를 이루는 게 좋을 것이란 메시지를 강조하고 있다는 해석도 제기된다.

● 트럼프, 日과의 협상 교착에 불만 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전용기에서 기자들과 만나 8일 종료되는 상호관세 유예를 연장할 것이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이어 “대부분은 우린 하나의 숫자를 정해서 아주 간단하게 그들(무역 상대국)에게 멋진 서신을 보낼 것”이라며 “아마도 (그 서신은) 한 페이지, 길어야 한 페이지 반 정도가 될 것”이라고 했다. 상호관세 유예를 연장하지 않고 관세율이 적힌 서신을 각국에 전달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

특히 그는 일본을 언급하며 “쌀이 절실하게 필요한데도 (미국의) 쌀을 받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자동차 역시 그들은 수백만 대를 (미국에) 수출하지만, 우리는 10년 동안 그들에게 한 대의 자동차도 팔지 못했다”고 했다. 또 “우리는 일본과 훌륭한 신뢰관계와 파트너십도 있지만, 무역에 있어서 그들(일본)은 매우 불공정했다. 그런 시대는 이제 끝났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일본에 대한 관세율을 앞서 4월 부과한 24%를 넘어 35%까지 인상할 가능성까지 시사했다.

수일째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을 겨냥한 건 교착 상태에 빠진 대일(對日) 무역협상에 대한 불만이 그만큼 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워싱턴의 외교 소식통은 “무역협상 초기 미 당국자들은 일본과의 협상을 비교적 낙관적으로 봤다”며 “하지만 일본의 저항이 거셌고, 미국으로선 현재 당혹감과 불만이 클 것”이라고 했다.

올 4월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 후 각국과 협상에 나섰을 때, 일본 정부는 조기에 협상단을 꾸려 의욕적으로 협의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일본 협상단 방미 당시 ‘깜짝 등장’해 직접 만났고, “큰 진전(big progress)이 있었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지금까지 미일 무역협상은 별다른 성과가 없다. 특히 지난달 말 7차 관세 협상을 위해 방미한 아카자와 료세이(赤澤亮正) 일본 경제재생상은 미국 협상단을 이끈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을 만나지도 못한 채 귀국해 이상 신호가 감지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일본은 영국이 철강 및 자동차 관세 인하를 받은 만큼 자신들도 산업별 관세 인하가 없는 합의에 동의할 수 없다고 주장해 왔다”며 “일본 관리들은 처음부터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1일 “우린 일본과 협상했지만 합의를 이룰 수 있을진 잘 모르겠다”고 발언한 것도 이 같은 일본의 태도를 반영했단 분석이 나온다. ● 日 압박 통해 다른 나라에도 경고장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을 집중 겨냥한 건 다른 무역 상대국에 대한 경고장 성격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오랜 기간 협상하고도 합의를 이뤄내지 못하면 가혹한 대가를 치를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핵심 동맹이며 동시에 교역국인 일본 압박하기에 더욱 나서고 있다는 것.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일본에 대한 발언을 두고 “아시아 동맹국과의 무역협상에서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지 미국이 의문을 제기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일각에선 일본과의 무역합의가 다른 국가보다 더 오랫동안 진행된 만큼 막판 합의에 앞서 조금이라도 더 양보를 얻어내려는 전략이란 분석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에서 ‘데드라인’을 앞두고 더 강하게 상대를 몰아칠 때가 많은데, 이번에도 이런 의도일 수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전방위 압박에 일본 언론들은 우려를 쏟아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협상 상황을 보고받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일 무역적자, 일본의 쌀 정책 등에 불만을 표시하면서 상황이 한층 더 엄중해졌다”며 “미국에 남아 조율을 이어 가던 일본 실무급 협상 담당자도 귀국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에 대해 “일본에 대한 압력을 강화하려는 목적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일본 정부는 즉각적인 반응을 삼가고 있다. 하지만 미일 무역협상 갈등이 20일 예정된 참의원 선거에 악영향을 미칠까 우려하는 상황이다. 일본 정부 부대변인인 아오키 가즈히코(青木一彦) 관방 부장관은 2일 기자회견에서 “미 정부 관계자의 발언 등에 대해 일일이 언급하는 것은 삼가고 싶다”며 “앞으로도 미일 양국에 이익이 되는 합의를 실현하기 위해 진지하고 성실한 협의를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워싱턴=신진우 특파원 niceshin@donga.com
도쿄=황인찬 특파원 hic@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