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큐 트럼프" 뜨거운 유럽 정크본드 시장

6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럽의 정크본드 시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불안정한 무역정책으로 인해 사상 최대의 호황을 기록하고 있다.

6월 유럽의 정크본드 발행액은 230억 유로로, 2021년의 이전 기록보다 50억 유로 증가했으며, 저신용 기업들도 저금리로 자금을 조달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미국 시장에서 자금을 다각화하려는 투자자들의 선택에 따른 것으로, 유럽 시장에 대한 수요 증가는 저금리 조건을 이끌어내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정책 변덕에 美 떠난 자금
유럽 고수익 채권으로 몰려
6월 230억유로 발행 '최대'
초고위험 'CCC등급' 기업도
10% 이하 금리에 자금 조달
"큰손들은 지금 유럽에 주목"

사진설명

유럽의 정크본드(고위험·고수익 채권) 시장이 유례없는 호황을 누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예측 불가능한 관세정책에 따른 불안감으로 미국 시장에서 빠져나간 자금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유럽으로 몰리면서다. 이례적인 자금 유입에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까지 높은 수익률을 무기로 채권 발행에 나서면서 정크본드 발행 규모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6월 유럽의 정크본드 발행액은 230억유로(약 36조9000억원)로 사상 최대치를 찍었다.

기존 최고 기록인 2021년 6월(180억유로)보다 50억유로가량 많은 수치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피치북은 같은 기간 채권 거래 체결 건수도 역대 최대치인 44건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미국 자본시장에 주로 몰려 있던 자금이 유럽으로 옮겨온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변덕스러운 무역정책과 미 정부의 과도한 차입 우려 때문이다.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발표한 이후 미국의 정크본드 발행은 거의 멈춘 상태다.

투자자들은 불확실성이 높아진 미국 시장에 대한 투자를 줄이고 자산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면서 유럽으로 대거 이동했다. 유럽 시장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투자 부적격 등급 기업들의 차입금리까지 하락했다.

채권을 발행하는 기업 입장에서 차입금리는 곧 자금조달 비용을 뜻한다. 금리가 낮을수록 더 적은 이자비용으로 자금을 확보할 수 있다.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 역시 이때를 틈타 채권 발행에 나서는 것이다.

유럽 정크본드 시장의 활황은 개별 기업 사례에서도 드러난다. 신용등급이 좋지 않아 과거 채권 발행에 실패했던 기업들도 이번에는 저금리로 자금을 조달하는 데 성공했다. 사모펀드 KKR이 소유한 버터 대체품 제조사 '플로라'는 신용등급 CCC로 초고위험 기업이지만 지난달 28일 8.625% 금리의 4억유로 규모 채권을 발행했다. 플로라는 지난해에도 채권 발행을 시도했지만 신용등급이 낮아 실패한 바 있다. 총알 제조사인 체코슬로바크 그룹(CSG)은 지난주에 5년 만기 채권을 유로화 기준 5.25%, 달러화 기준 6.5% 금리로 발행했다. 지난해 11월만 해도 11%대 고금리 사모채권을 발행했던 것과 비교하면 차입 조건이 크게 유리해졌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에 따르면 유럽 고수익 채권 펀드에도 지난 7주 연속 자금이 순유입됐다. 6월 말 한 주에만 9억2200만달러(약 1조2536억원)가 들어왔다.

유럽 고위험 채권의 신용 스프레드(국채 대비 금리 격차)는 지난 4월 4%포인트에서 지난달 말 3.1%포인트로 좁혀졌다. 이는 고위험 채권에 대한 투자자 수요가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JP모건의 유럽·중동·아프리카 지역 레버리지 파이낸스를 담당하는 벤 톰슨 헤드는 "대형 투자자들이 특히 유럽에 더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지연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