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8일 상호관세 유예 종료를 앞두고 일본을 향해 지난 4월 발표한 상호관세율(24%)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본을 압박해 관세 협상에서 양보를 얻어내고 한국 등에 ‘본보기’로 삼으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전용기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세) 유예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에 대해 “일본을 사랑하고 아베 신조 전 총리는 가장 가까운 친구 중 한 명이었다. 그들의 신임 총리도 좋아한다”면서도 “다른 이들과 함께 30~40년 동안 우리를 착취하면서 매우 버릇이 없었다”고 했다.
트럼프는 “무역에 있어서 매우 불공평했고, 이제 그런 시대는 끝났다”며 “당신들은 30%, 35% 또는 우리가 결정하는 숫자를 (관세로)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4월 트럼프가 일본에 통보한 상호관세율은 24%로, 이보다 더 높은 중국 수준(3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한 것이다.
이는 일본이 관세 협상에서 미국 요구에 충분히 호응하지 않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8일 이후 더 높은 관세율을 적용할 수 있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대통령은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낮은 지지율 속에 오는 20일 참의원 선거를 치른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관세 협상에서 양보할 것을 압박하고 있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부 국가에 (미국과의) 무역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나 대부분 수치(상호관세율)를 정해 한 쪽이나 최장 한 쪽 반 정도 분량의 친절한 서한을 매우 단순하게 써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