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극초음속 비행체 시험”…외형-이름-발사장면 이례적 비공개

4 hours ago 2

‘미사일’ 대신 ‘비행체’ 용어 사용
활공-변칙 기동 등 특성도 안보여
한미 정보당국 속이기 가능성
APEC 앞 美 자극피하기 분석도

22일 서울 중구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이날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이 오전 8시10분쯤 동해상으로 미상의 탄도미사일을 쐈다고 밝혔다. 이번 탄도미사일 발사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이며 지난 5월 8일 이후 167일 만이다. 뉴스1

22일 서울 중구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이날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이 오전 8시10분쯤 동해상으로 미상의 탄도미사일을 쐈다고 밝혔다. 이번 탄도미사일 발사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이며 지난 5월 8일 이후 167일 만이다. 뉴스1
북한이 5개월여 만에 재개한 탄도미사일 도발을 두고 23일 “새로운 중요 무기 체계 시험을 했다”며 이 미사일이 극초음속 비행체라고 주장했다. 전날 우리 군 당국은 4.5t 중량의 초대형 재래식 탄두가 장착되는 ‘화성포-11다-4.5형’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지만 이와 다른 미사일이라고 주장한 것. 그러면서도 정작 미사일 외형이나 발사 장면을 공개하지 않았고, 이례적으로 ‘미사일’ 대신 ‘비행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북한이 한미 정보당국을 기만하는 동시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코앞에 두고 미국을 의식한 수위 조절 차원에서 ‘비행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23일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은 “22일 중요 무기 체계 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며 “평양시 력포구역에서 북동 방향으로 발사된 2개의 극초음속비행체는 함경북도 어랑군 궤상봉 등판의 목표점을 강타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은 미사일이 표적에 명중해 폭발하는 장면 등에 한해 공개했을 뿐 통상 공개해 오던 미사일 외형이나 발사 장면은 물론 미사일 명칭도 일절 공개하지 않았다.

북한 보도가 나오면서 북한이 이재명 정부 들어 처음 발사한 이 미사일이 10일 노동당 창건 80주년 열병식에서 공개한 극초음속 단거리 탄도미사일인 ‘화성-11마’형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다만 군 당국은 한미 감시 자산 등으로 분석한 결과 극초음속 미사일의 경우 통상 활공 비행 및 변칙 기동 등 한미의 요격망을 무력화하기 위한 비행 특성을 뚜렷하게 보이지만 이번 미사일은 이런 특성이 전혀 없었다고 결론 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소식통은 “북한 미사일의 비행 특성은 ‘화성포-11다-4.5형’과 동일했다. 북한 발표를 다 믿을 수는 없다”면서도 “북한 발표가 있었던 만큼 화성-11마형을 비롯해, 화성-11다-4.5형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날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이 황해북도 중화에서 미사일을 쐈다고 했지만 북한은 평양시 력포구역에서 발사했다고 밝혀 발사 장소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우리 군은 이 미사일이 약 350km를 날아갔다고 밝혔지만 북한이 밝힌 발사 장소와 탄착 지점 간 거리는 약 430km였다. 손석락 공군참모총장은 이와 관련해 이날 충남 계룡대 공군본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의 공군 대상 국정감사에서 “우리 자료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그들(북한)은 글로 표현하는 것이라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해 놓고 ‘비행체’라는 용어를 쓴 의도에도 관심이 집중됐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 모습도 없었는데, 실제로 김 위원장은 미사일 발사 현장에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미사일 발사 의도에 대해서도 “그 목적은 자체 방위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등 선제공격 무기가 아님을 재차 강조하는 모습도 보였다. 이를 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APEC 정상회의 개막 이틀 전인 29일 방한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APEC에 임박해 미사일 도발 재개로 국제사회에 존재감을 과시하면서도 미국을 과도하게 자극하지 않기 위해 수위를 치밀하게 조절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주한미군은 이날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미국은 북한의 이러한 불법적이고 불안정을 초래하는 행위를 규탄한다(condemns). 우리는 대한민국과 긴밀히 협의 중이며 양국 본토 방위를 위한 대비 태세 유지에 집중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손효주 기자 hjson@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