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리티지’서 해법 찾는 재계… “위기일수록 초심”

3 hours ago 2

선대 회장들 경영철학 강조
현대차 “정주영 인간중심 유산 계승”… LG “선택과 집중, 고객가치 실천”
SK, 최종현 활동 ‘선경실록’ 완성… 삼성전자는 ‘사즉생 각오’ 주문

“위기일수록 초심을 찾자.”

최근 국내 기업들이 대내외 정치 불안, 미국의 관세 폭풍과 경기 침체 장기화 등 ‘역대급’ 불확실성을 맞은 가운데 한목소리로 강조하는 이야기다. 여기에는 모두 각 선대 회장들의 경영 철학이 담겼다는 공통점이 눈에 띈다. 어려운 때일수록 앞선 리더들의 헤리티지(유산)를 다시금 강조하며 본연의 정체성을 되새기고 기본에 충실하자는 메시지다.

6일 재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그룹은 최근 사사(社史) 발간을 위한 태스크포스(TF) 구성에 나섰다. 2027년 창립 60주년을 맞아 이를 기념하기 위한 작업에 돌입한 것이다. 현대차는 내부 공지를 통해 “정주영 선대 회장으로부터 이어져 온 인간 중심 헤리티지의 본류를 총체적인 기록으로 조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선대 회장의 대표 헤리티지인 ‘인본주의’는 오늘날 현대차 혁신의 밑바탕이라고 평가받는 경영 철학이다. 정 선대 회장이 생전에 직원들에게 줄곧 해오던 말이 “우리에게 세계 제일의 무기가 있는데 바로 여기 있는 가장 우수한 기능공들”이다. 정의선 회장도 2023년 11월 울산 전기차 공장 기공식에서 선대 회장의 인본주의 뜻을 이어 “우리나라 역사가 그렇듯 현대차도 사람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선대 회장의 그 정신과 ‘하면 된다’는 생각 등을 중심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LG는 올해 구광모 ㈜LG 대표가 주재한 첫 사장단 회의에서 구본무 선대 회장의 헤리티지를 꺼내 들었다. 창립 70주년인 2017년 신년사로 당시도 지금처럼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며 글로벌 정치·경제 질서가 급변하던 시기였다. 구 대표는 “(선대 회장께서) 경쟁 우위와 성과 창출이 가능한 곳에 ‘선택과 집중’을 해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하라고 말씀했다”며 “사업 구조와 사업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모든 사업을 다 잘할 수는 없기에 더더욱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고 했다.

LG는 또 지난달 구자경 명예회장 탄생 100주년을 맞아 그의 경영철학을 재조명하는 영상을 구성원들에게 공유했다. 국내 기업 최초로 ‘소비자’ 대신 ‘고객’이라는 용어를 도입하는 등 구 명예회장의 ‘고객가치’ 중심 철학이 담겼다.

SK는 지난달 최종현 SK 선대 회장의 경영 활동 일체를 담은 ‘선경실록’을 완성했다. 그룹 수장고 등에 보관해 온 30∼40년 전 기업활동 관련 자료를 집대성한 디지털 사료다. 명칭은 SK의 본래 사명인 ‘선경(鮮京)’을 따서 지었다. 선경실록에는 지금처럼 정치 불안이 심각할 때 귀감으로 삼을 수 있는 사례도 있다. 최 선대 회장이 군사정권 시절인 1980년대 중반 임원·부장 신년간담회에서 “정치가 불안할수록 경제까지 망가지면 안 된다는 사명감을 가져야 경제가 나빠지지 않는다”고 주문한 대목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이재용 회장이 임원 대상 교육에서 “사즉생(死則生)의 각오로 임하라”고 주문해 주목받았다. “마누라와 자식 빼고는 다 바꾸라”는 이건희 선대 회장의 1993년 ‘프랑크푸르트 선언’을 떠올리게 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재계 관계자는 “기업들이 전례 없는 불확실성을 맞으며 과거 위기를 이겨내고 사업을 키운 선대 회장들로부터 지혜와 해법을 찾으려는 것”이라며 “이 같은 메시지는 조직의 정체성을 정립하고 내부 임직원의 결속을 다지는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주재우 국민대 경영학부 교수는 “경영 불확실성이 큰 만큼 구성원들을 하나의 비전과 목표로 결집시키기 위해 헤리티지를 상기시키는 것이라고 본다”며 “특히 선대 회장과 같은 명망 높은 경영인을 불러들이는 것은 내부 지지를 얻는 데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박현익 기자 beepark@donga.com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