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서한 12개국에 발송
여한구 이어 안보실장도 방미
유예 연장·큰틀 합의 '총력전'
◆ 한미 관세협상 난항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적은 서한에 서명했으며, 이 서한들을 7일(현지시간) 해당 국가에 발송하겠다고 4일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탑승 기자들에게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관세 협상을 진행 중인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EU), 인도 등을 겨냥해 과감한 양보와 합의를 종용하는 압박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어느 나라에 서한을 발송할 것인지, 구체적 관세율이 얼마인지 등 자세한 내용은 거론하지 않았지만, 무역 협상을 진행 중인 한국이 포함됐을 가능성이 높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각국에 책정된 상호관세율이 10~20%에서 60~70% 수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관세 부과 시점은 8월 1일이라고 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 4월 한국 등 56개국과 EU에 대해 상호관세 부과를 선언하고 9일 0시 1분까지 발효를 유예해 둔 상태다. 한국 정부는 외교·안보 정책을 총괄하는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을 6일 미국에 급파했다. 위 실장은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 등을 만날 예정이다. 그는 출국길에 "관세 협상도 있고, 안보 사안도 있다"고 밝혔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도 지난 5일부터 워싱턴DC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협상을 진행 중이다. 여 본부장은 미국 현지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한미 양국 간 큰 틀의 무역 합의 조기 타결 등 모든 가능성을 두고 협상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만료된 뒤 한국을 포함한 각국에 대한 새 상호관세율이 나오더라도 조금의 유예 기간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내다봤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 / 서울 오수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