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시한이 약 10시간 남았던 31일 오후 카린 켈러주터 스위스 대통령과 통화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스위스의 상품 무역 흑자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스위스가 더 많은 양보를 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통화에서 연간 400억 달러 수준인 대미 상품수지 흑자를 거론하며 “스위스가 미국으로부터 돈을 훔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켈러주터 스위스 대통령은 스위스가 미국으로부터 돈을 훔쳤다는 생각은 “터무니없는 것”이라며 반박했고, 무역 적자에 상응하는 관세율을 부과해야 한다고 말했다.스위스 대통령으로부터 별다른 대답을 듣지 못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크게 분노했고 결국 몇 시간 후 39%의 고관세를 부과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스위스에 상호관세 31%를 발표한 바 있다.
블룸버그는 “스위스는 도널드 트럼프와 막판 통화를 하면서 혹독한 현실 점검을 당했다. 미국 대통령의 직접 승인이 떨어지기 전까지는 무역합의는 완료된 게 아니라는 것이다”라고 전했다.양측은 이미 합의 초안을 작성했고, 최종 승인은 형식적인 절차라고 예상했으나 관세 39%를 부과 받게 된 스위스는 충격에 빠졌다. 스위스의 대미 주요 수출품에는 화학 및 제약 제품, 시계 및 보석 등으로 오는 7일까지 협상으로 타결에 성공하지 못하면 관세 39%를 부과 받게 된다. 이는 유럽연합(EU)의 관세율 15%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미국 내 소비자들의 가격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또 스위스의 대미 수출액 중 60%를 차지하는 제약업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미국과 스위스는 1개월 전 스위스의 주요 제약업체들에 대한 미국 관세 면제 조치가 포함된 합의 초안에 합의했고,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승인만 남겨두고 있었다.
김예슬 기자 seul56@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