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매수비중 30대 추월
2019~2024년 30대가 시장 주도
대출규제·집값 급등에
자금력 뒷받침된 40대 비중 커져
서울시가 강남 국제교류복합지구를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한 뒤 지난 3월 40대가 서울 아파트를 매입한 비중이 30대 매입 비중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부동산원 매입자 연령별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에 따르면 3월 매매 신고된 서울 아파트 9349건 중 40대 매입 비중은 33.8%(3158건)로 연령대 중 1위를 차지했다. 30대 매입 비중은 32.5%(3041건)였다.
서울 아파트 매수는 2019년부터 30대가 주도하는 흐름이 이어졌다. 지난 2019년 30대 매수 비중은 평균 28.8%로 40(28.7%)로 앞섰다. 2020년엔 30대 비중이 33.5%로 40대(27.5%)와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저금리 기조를 틈타 20~30대 젊은 세대가 ‘영끌’을 통해 아파트 구매에 동참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해부터는 대출 규제가 강화되며 자금력이 부족한 30대 매입 비중이 다소 낮아지기 시작했다. 지난해 30대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31.9%로 40대(31.7%)와 큰 차이가 없었다.
작년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30대 매수 비중이 더 높았지만, 3월부터는 40대가 역전하기 시작했다.
특히 강남구와 서초구의 40대 매입 비중은 각각 42.8%와 44.5%로 30대(19.5%, 21.1%)를 압도했다. 정비사업 호재로 아파트값이 급등한 용산구와 양천구의 40대 매입 비중(38.1%, 43.8%)도 30대(25.5%, 30.4%)와 격차가 컸다.
현재 강남을 비롯한 서울 주요 지역의 집값이 상당히 오른 상태이고, 7월부터는 DSR 3단계 시행으로 대출 규제도 더 강화되는 만큼 자금력이 뒷받침되는 40대 매수 비중이 30대보다 더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