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해제 3월 서울 아파트 가장 많이 산건 ‘이 세대’

6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시가 강남 국제교류복합지구를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한 이후, 3월 서울 아파트 매입에서 40대 비중이 33.8%로 30대의 32.5%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부터 30대가 아파트 매입을 주도해왔으나, 지난해부터 강화된 대출 규제로 30대의 매입 비중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특히 강남구와 서초구에서 40대 매입 비중이 42.8%와 44.5%에 달하며, 앞으로 DSR 3단계 시행으로 인해 40대의 매수 비중이 더 증가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40대 매수비중 30대 추월
2019~2024년 30대가 시장 주도
대출규제·집값 급등에
자금력 뒷받침된 40대 비중 커져

서울 아파트 전경. [매경DB]

서울 아파트 전경. [매경DB]

서울시가 강남 국제교류복합지구를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한 뒤 지난 3월 40대가 서울 아파트를 매입한 비중이 30대 매입 비중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부동산원 매입자 연령별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에 따르면 3월 매매 신고된 서울 아파트 9349건 중 40대 매입 비중은 33.8%(3158건)로 연령대 중 1위를 차지했다. 30대 매입 비중은 32.5%(3041건)였다.

서울 아파트 매수는 2019년부터 30대가 주도하는 흐름이 이어졌다. 지난 2019년 30대 매수 비중은 평균 28.8%로 40(28.7%)로 앞섰다. 2020년엔 30대 비중이 33.5%로 40대(27.5%)와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저금리 기조를 틈타 20~30대 젊은 세대가 ‘영끌’을 통해 아파트 구매에 동참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해부터는 대출 규제가 강화되며 자금력이 부족한 30대 매입 비중이 다소 낮아지기 시작했다. 지난해 30대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31.9%로 40대(31.7%)와 큰 차이가 없었다.

작년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30대 매수 비중이 더 높았지만, 3월부터는 40대가 역전하기 시작했다.

특히 강남구와 서초구의 40대 매입 비중은 각각 42.8%와 44.5%로 30대(19.5%, 21.1%)를 압도했다. 정비사업 호재로 아파트값이 급등한 용산구와 양천구의 40대 매입 비중(38.1%, 43.8%)도 30대(25.5%, 30.4%)와 격차가 컸다.

현재 강남을 비롯한 서울 주요 지역의 집값이 상당히 오른 상태이고, 7월부터는 DSR 3단계 시행으로 대출 규제도 더 강화되는 만큼 자금력이 뒷받침되는 40대 매수 비중이 30대보다 더 커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