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잠깐 풀었더니 너도나도 주담대”…4월 가계대출 5조원 폭증

6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월 서울 강남권 토지거래허가제의 일시 해제로 주택 거래가 증가하면서 4월 금융권 가계대출이 5조3000억원 늘어났다.

은행권 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이 4조8000억원 증가하며 전체 대출 증가를 주도했고, 신용대출도 1조2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향후 금리 인하 기대감과 가정의 달 수요 등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2월 서울 강남권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일시 해제 조치에 주택 거래가 늘면서 4월 금융권 가계대출이 5조원 넘게 급증했다. 증시 변동성이 커지자 빚을 내 주식 투자에 나선 흐름이 강해진 것도 한몫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13일 발표한 ‘4월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5조3000억원 늘었다. 3월 증가 폭이 7000억원이었다는 데 비춰보면 한 달 새 7배 넘게 불어난 것이다. 은행권 대출이 4조8000억원 늘었고, 제2금융권에서도 5000억원이 증가했다.

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4조8000억원 늘어 증가세를 주도했다. 3월 9000억원 줄며 주춤했던 기타대출은 4월엔 1조원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달 신용대출이 1조2000억원 크게 늘어난 영향이 직접적이다.

금융당국은 “2~3월 늘어났던 주택거래 관련 대출이 실행되면서 4월 주담대가 증가했다”며 “4월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에 자금 수요가 늘며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도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1월 1만8000건에 그쳤던 수도권 주택 매매 건수는 2월 2만4000건, 3월 3만6000건으로 뛰었다. 대출 상담부터 승인까지 2~3개월간 시차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달에도 주담대 위주로 대출 증가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당국 관계자는 “금리 인하 기대감, 5월 가정의 달 수요에 7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시행을 앞두고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월별·지역별 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기업대출도 크게 늘었다. 이날 한국은행에 따르면 4월 은행권 기업대출은 14조4000억원 증가했다. 역대 4월 기준으로 2020년(27조9000억원) 이후 두 번째 높은 증가폭이다. 미국 상호관세 조치로 정책성 자금대출이 늘어난 영향이 컸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