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전자제품 계약 제조업체인 폭스콘은 1분기 이익이 91% 급증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관세 관련 불확실성으로 올해 전망치는 하향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14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애플과 엔비디아 등에 납품하는 대만의 폭스콘은 AI 서버 수요에 힘입어 분기 이익이 421억2,000만 대만달러(1조9,500억원)을 기록했다고 보고했다. 이는 LSEG가 수집한 분석가들의 추정치인 378억대만 달러를 크게 웃돈다. 분기 매출 역시 AI서버 판매 호조에 힘입어 역대 최고치인 24.2% 증가했다고 밝혔다.
폭스콘은 실적 보고서에서 2분기에도 전년 대비 상당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AI 서버의 경우 전년 대비 두 자릿수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미국의 관세로 공급망에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돼 연간 전망은 전보다 소폭 하향 조정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회사는 전망치에 대해 구체적 수치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폭스콘의 최고경영자(CEO)인 류양웨이 회장은 "지난 한 달간 미국의 관세 정책이 급격하게 바뀌면서 글로벌 공급망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여기에 “환율 변동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가까운 미래에 대해 신중하게 전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회사가 애플에 공급하는 아이폰은 대부분 중국에서 조립된다. 폭스콘은 트럼프의 관세 부과 대상중 하나인 멕시코에 엔비디아용 AI 서버를 생산하는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은 전기 자동차를 미래 주요 성장 동력으로 보고 이 분야에서 사업 영역을 확대하려고 추진중이다.
자회사인 폭스트론자동차기술은 일본의 미쓰비시 자동차와 지난 주 전기차 모델 공급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폭스콘은 이전에 닛산 지분 인수를 고려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