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신하연 기자] 코스피 지수가 지난주 장중 한때 3200선까지 오르며 연고점을 경신하는 등 강세 흐름을 이어가는 가운데, 주가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과 조정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기자금 유입과 정책 기대가 상승 동력을 제공하고 있지만, 단기 과열 신호와 함께 미국 물가 지표 등 외부 변수에 따라 변동성 확대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진단한다.
![]() |
11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 원·달러 환율, 코스닥 지수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7.46포인트(0.23%) 내린 3175.77로 마감했다. (사진=연합뉴스) |
◇지난주 46개월 만에 3200선 터치…위험자산선호 지속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코스피 지수는 전주 대비 121.49포인트(3.98%) 오른 3175.77로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이었던 11일에는 장중 3216.69포인트까지 오르면서 46개월 만에 3200선을 넘어서는 등 강세를 보였다.
앞서 10일에는 코스피·코스닥·코넥스 시장의 시가총액 총합이 3020조 7690억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3000조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지난주까지 2주 연속 하락했던 코스닥 지수는 전주 대비 24.67포인트(3.18%) 오른 800.47로 장을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도 국내에선 2차 추가경정안 국회 통과와 상법 개정안 처리에 따른 국내 증시 재평가 등에 대한 기대감이 이어지면서 위험자산선호가 지속된 것으로 풀이된다.
수급 주체별로 보면 지난주(7~11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5379억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기관은 2400억원, 개인은 130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다만 연속된 상승에 대한 피로감도 일부 감지된다. 지난주 코스피는 4거래일 연속 상승한 뒤 11일에는 하락 마감하며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공포탐욕지수(Fear&Greed 인덱스)가 극도의 탐욕 구간에 진입한 만큼 상승 업종 추격 매수보다 리스크 관리와 소외된 저평가주 중심의 순환매 대응이 유효하다”며 “건강관리·반도체·2차전지 업종이 대표적이며, 조선·기계 업종은 매물소화 과정에서 성장성과 밸류에이션에 근거한 옥석 가리기가 가능하다”고 진단했다.
◇“정책發 모멘텀 지속” 낙관론 여전…美물가지표는 변수
다만 증시 전문가들은 기술적 조정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하면서도 정책발 모멘텀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에서 낙관론 역시 유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정부가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 상법 개정을 추진하는 등 정책 모멘텀도 주가에 호재이지만, 주가 상승이 이어지는 이유는 증시 대기자금이 많기 때문”이라며 “외국인 투자자 매수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개인 투자자의 예탁금 65조원이 대기하고 있고 최근 국내 주식형 펀드의 원본설정액이 크게 증가하는 등 증시 대기자금이 풍부해 정책 등 주가 상승 모멘텀이 있는 업종과 종목으로 자금 유입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주환원 정책 기대감이 있는 지주사와 금융업종, 조선·방산·원전 등이 여전히 유효한 투자처로 꼽힌다. 더불어 관세 불확실성 해소도 코스피 지수를 한 단계 더 끌어올리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부각되고 있다.
신승진 삼성증권 연구원은 “관세 불확실성으로 코스피 전반의 이익 추정치는 하향되고 있음에도 글로벌 주요 증시 중 코스피가 가장 강한 이유는 실적 개선보다 시장 자체의 재평가 영향이 컸기 때문”이라며 “코스피 내 실적 모멘텀이 가장 좋은 업종은 조선·방산·금융·유틸리티 등 기존 주도 섹터이지만 관세 협상 타결로 그동안 소외된 업종들까지 상승한다면, 코스피는 2021년 전고점을 넘어 새로운 레벨로 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주목하는 소비자물가지수(CPI)도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번주 15일 발표 예정인 6월 헤드라인 CPI 컨센서스는 전년 대비 2.7% 상승으로 전월치인 2.4%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은 최근 대외 이슈보다 대내 이슈의 영향을 크게 받는 상황이지만 트럼프 관세 여파가 본격화하면서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정환 연구원은 “3분기 관세에 따른 물가 지표가 높게 나올 시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이 뒤로 후퇴할 수 있다는 점은 향후 고려해 볼만한 리스크 요인”이라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