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리움미술관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인기 캐릭터 ‘더피’(호랑이)와 ‘서씨’(까치)의 모티브가 된 민화 ‘호작도’를 한자리에 모은 상설기획전 ‘까치호랑이 호작(虎鵲)’을 오는 11월 30일까지 진행한다고 9일 전했다.
![]() |
1592년작 ‘호작도’. (사진=리움미술관) |
이번 전시에선 ‘까치호랑이’의 기운을 보여주는 16세기 말 작품부터 민중문화 속 해학과 풍자로 자리잡은 19세기 민화, 김홍도의 정통 회화까지 ‘호작도’의 폭넓은 스펙트럼과 다양한 의미를 확인할 수 있는 자리로 마련했다.
호랑이와 까치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좋아한 동물로 전통 미술에서 중요한 소재로 다뤄져 왔다. 호랑이는 액운을 막아준다고 여겨져 ‘호피도’를 그려 장식할 정도였고, 까치와 함께 호랑이를 그린 ‘호작도’는 조선후기 민화의 대표적인 주제로 자리매김 했다.
이번 전시에선 ‘까치호랑이’ 관련 작품 7점을 전시한다. 이 중 1592년작 ‘호작도’(리움미술관 소장)는 국내 최초로 전시를 통해 공개한다. 현존하는 우리나라 까치호랑이 그림 중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리움미술관 측은 “중국 원나라에서 정립된 ‘호작도’의 형식이 한국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작품”이라며 “그림 우측 상단에 ‘임진년에 그렸다’는 기록이 있어 정확한 제작연도를 알 수 있고, 민화가 아닌 일반회화 형식으로 그려진 점도 주목할 만하다”고 설명했다.
![]() |
‘피카소 호랑이’로 불리는 19세기 ‘호작도’. (사진=리움미술관) |
추상적 표현법이 피카소 화풍을 연상시킨다 하여 ‘피카소 호랑이’로 불리는 19세기 ‘호작도’도 만날 수 있다. 단순하면서도 해학적인 호랑이의 표정이 보는 이들의 웃음을 자아내는 작품으로 1988년 서울올림픽 마스코트인 ‘호돌이’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1874년 신재현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호작도’, 호피 장막을 그린 ‘호피장막도’, 조선 후기 화단의 거장 단원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등도 이번 전시에서 만날 수 있다.
조지윤 리움미술관 소장품연구실장 은 “430년 전 조상이 그린 호랑이가 오늘날 K컬처 아이콘이 되기까지 이번 전시는 한국 미술의 시간여행을 보여준다”며 “전 세계가 열광하는 한국적 캐릭터의 원류를 확인하고, 우리 전통문화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리움미술관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 가능하며 고미술 상설전과 함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 |
신재현의 ‘호작도’. (사진=리움미술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