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 상병 특검 “이종섭, 의견서 제출…尹 통화 명시”

11 hours ago 1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해 6월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 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 관련 입법청문회에서 증인 선서를 거부한다는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해 6월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 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 관련 입법청문회에서 증인 선서를 거부한다는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및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채 상병 특검(특별검사 이명현)은 21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제출한 의견서에 윤석열 전 대통령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는 점이 분명히 적혀 있다”고 밝혔다. 이 전 장관은 2023년 7월 31일 전화를 받아 통화한 뒤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 이첩을 보류시켰다. 그간 이 전 장관은 통화한 상대방이 누구인지 밝히지 않다가 특검에 지난 18일 윤 전 대통령과 통화했다는 내용의 의견서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이 전 장관 측은 당시 이첩 보류 지시를 윤 전 대통령에게서 받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정민영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이 전 장관 측이 해당 통화가 통상적인 업무 전화였다고 주장한 것을 두고 “의견서에서는 통상적인 부분이라고 이야기하진 않은 것 같다. 해병대 수사단 수사 결과와 관련한 내용”이라며 “아무 관련 없는 이야기를 했다고 나오진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당시 이 전 장관에게 전화를 건 번호인 ’02-800-7070’의 발신자가 윤 전 대통령이 확실한 지도 “종합해서 보면 전화를 건 사람이 윤 전 대통령이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 같다”며 “저희가 별개로 대통령경호처의 협조를 받아 발신자를 계속 확인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윤 전 대통령 소환 조사 여부를 두고는 “불러서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는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채 해병 순직 사건 관련 구명 로비 의혹을 받는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지난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초중앙로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으로 소환 조사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공동취재) 뉴스1

채 해병 순직 사건 관련 구명 로비 의혹을 받는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지난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초중앙로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으로 소환 조사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공동취재) 뉴스1
이 전 장관 측은 특검에 의견서를 제출한 이유에 대해 “일각에서는 김건희 여사 등 다른 사람이 전화한 것 아닌지, 그리고 혐의자에서 (임성근 당시 해병대1)사단장을 빼라고 (지시)한 것 아닌지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되는 상황이라 그러한 의혹들을 불식시키기 위한 차원에서 의견서에 그것이 아니라는 최소한의 내용을 담았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전 장관 측은 의견서에서 “피의자는 그날 대통령으로부터 피의자가 격노로 느낄 만한 질책을 받은 적도 없었고 ‘사단장을 (혐의자에서) 제외시켜라, 사건 이첩을 보류하라’는 지시를 받은 사실도 없다”고 주장하며 ‘VIP 격노설’을 일축했다.

이어 “피의자의 (김계환 당시)해병대 사령관에 대한 이첩 보류 지시는 장관의 권한과 책임에 따라 이뤄진 적법하고 정당한 행위로 그 자체에 그 어떠한 위법성도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김계환 전 사령관은 윤 전 대통령의 ‘VIP 격노설’을 부인하는 진술을 해 위증한 혐의를 받는다. 특검은 오는 22일 김 전 사령관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이금규 특별검사보와 이정민 부부장검사, 홍현준 검사, 김지윤 공수처 검사를 투입해 김 전 사령관 신병확보에 나설 예정이다.

특검은 지난 18일 VIP 격노설과 관련해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을 다시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정 특검보는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 기록을 보고받은 윤 전 대통령이 회의에서 어떤 반응을 보였고 어떤 조치를 했는지 등에 대해 상세히 조사했다”며 “특검이 파악한 회의 당시 상황에 대해 김 전 차장에게 재차 확인하는 내용을 주로 조사했다”고 밝혔다. 이어 “김 전 차장이 2회차 조사에서 구체적으로 진술했다”고 부연했다.

정 특검보는 임 전 사단장 구명로비 의혹과 관련해 “지난 18일 피의자 임성근 및 관련 참고인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며 “피의자 및 참고인의 사무실과 주거지 등 총 10여 곳을 압수수색 해 휴대전화 10여 대, 컴퓨터 전자정보 등 압수물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어 “(임 전 단장의 부인도) 휴대전화 비밀번호를 제공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일부는 여러 개의 휴대전화 중 과거에 쓰던 것은 비밀번호가 기억나지 않는다고 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특검은 임 전 사단장의 구명로비가 개신교 인사들을 통해서도 이뤄진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정 특검보는 개신교 측 인사의 소환 조사에 대해선 “불러서 조사를 할 텐데 아마 당장은 아니다. 압수물 분석이 진행된 다음에 부르지 않을까 싶다”고 답했다.

이혜원 기자 hyewon@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