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 없이 불 꺼진 새 아파트 급증…11년 8개월만 최다

8 hours ago 2

부산 수영구와 해운대구 일대 아파트와 고층빌딩 모습. 사진=연합뉴스

부산 수영구와 해운대구 일대 아파트와 고층빌딩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2023년 8월 이후 20개월 연속 증가하며 2만5000가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1년 8개월 만에 가장 많은 양이다.

2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3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8920가구로 집계됐다. 전월 7만61가구 대비 1.6%(1141가구) 감소한 수치다. 수도권 미분양은 1만6528가구로 한 달 새 6.1%(1072가구) 줄었고, 지방은 5만2392가구로 소폭(69가구) 감소했다.

다만 '악성 미분양'으로 평가받는 준공 후 미분양은 2만5117가구로 같은 기간 5.9%(1395가구) 늘었다. 새 아파트를 다 짓고도 주인을 찾지 못한 빈집이 빠르게 늘었다는 의미다. 준공 후 미분양은 2023년 8월부터 20개월 연속 증가했는데, 2013년 8월 2만6453가구 이후 가장 많은 수준으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4574가구로 전달 대비 0.7% 증가에 그쳤지만, 지방은 2만543가구로 한 달 만에 7.1% 증가했다. 지방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대구 3252가구 △경남 3026가구 △경북 2715가구 △부산 2438가구 등 영남권에 집중된 양상을 보였다. △제주 1605가구 △전남 2392가구 등도 미분양 물량이 많지만, 증가 추세는 멈췄다.

정부가 미분양 주택 해소를 위해 지난해부터 추진했던 기업구조조정(CR) 리츠는 이달 처음으로 등록했다. JB자산운용이 등록한 리츠가 대구에 있는 미분양 아파트 288가구를 매입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추가 등록을 앞둔 리츠의 매입 물량을 포함해 2000가구가량 사들일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지방을 중심으로 침체한 주택 시장을 반전시키기엔 어려운 상황이다.

3월 주택 인허가는 3만1033가구로 전월 대비 148.2% 늘었다. 수도권은 1만5145가구로 전월 대비 45.3% 많아졌고 지방 역시 1만5888가구로 188.9% 증가했다. 착공은 1만3774가구로 같은 기간 36.8% 늘었다. 착공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평년 대비 낮은 수준이었다. 3월 누계(1~3월) 착공은 3만4021호로 전년 동기 대비 25% 감소했다.

3월 말 주택 거래는 6만7259건으로 전월 대비 32.7% 증가했다. 이 기간 서울시의 거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서울 거래량은 1만2864건으로 전월 대비 75.6% 급증했고 수도권은 48% 늘어난 3만5556건이었다. 지방은 18.9% 증가한 3만1703건이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