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신하연 기자] 한화투자증권은 제주항공(089590)에 대해 수요 둔화가 정상화하기 까지는 다소 시간이 필요하다며 실적 추정치와 멀티플을 하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1만 1000원에서 7000원으로 36.4% 내려 잡았다. 투자의견은 ‘중립(HOLD)’를 유지했다.
박수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23일 “2분기부터는 점진적인 공급 회복이 이뤄지겠으나 둔화된 수요는 그보다 더딘 속도가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연구원은 “지난 1분기 제주항공의 국제선 여객 공급은 전년 대비 약 11%, 2019년 1분기 대비로도 약 11% 감소한 바 있다”며 “이는 지난 연말 사고 이후 발표한 일시적 공급 축소 계획에 따른 것으로, 2분기부터는 점진적인 공급회복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지난 1분기 국제선 수송 실적은 전년 대비 약 24%, 2019년 1분기 대비 약 22% 감소했는데 공급 축소폭 대비 강한 수요 위축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소비자 심리 회복까지 다소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이어 “로드팩터 및 운임의 상대적 약세가 이어지며, 2분기까지 영업 적자가 전망된다”면서 “지난해 4분기 동사의 정비비는 1000억원 수준을 상회했는데, 사고 외에도 환율 영향이 컸던 것으로 해석된다”고 진단했다.
또 “지난 1분기 정비비는 454억원으로 재차 안정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향후 점진적인 정비비 상승이 예상된다”며 “연말 사고 이후 정부 차원에서 동사를 포함한 국내 LCC 사업체들에게 정비 강화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정비 인력 확충 등의 방안이 발표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국내 여건상 부족한 인력 풀이나 기술력을감안하면 해외 외주 정비는 올해 더 많아질 개연성이 높다”며 “높아진 환율 수준까지 고려하면 연간 정비비는 과거보다 다소 부담되는 수준일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 |
(쩨공=한화투자증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