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모인 한-아세안 10개국 싱크탱크…“장기 협력과제 발굴”

6 hours ago 2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연구원을 비롯한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10개국 싱크탱크 주요 관계자가 14일 제주에서 장기 협력과제 발굴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권남훈(앞줄 왼쪽 6번째부터) 산업연구원 원장, 박일준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비롯한 관계자가 14일 제주롯데호텔에서 열린 제1차 한-아세안 경제·통상 싱크탱크 다이얼로그(AKTD) 컨퍼런스에서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산업부)

산업통상자원부는 대한상공회의소와 산업연구원 주관으로 이날 제주 롯데호텔에서 제1차 한-아세안 경제·통상 싱크탱크 다이얼로그(AKTD) 컨퍼런스를 열었다고 밝혔다.

AKTD는 정부가 지난해 10월 라오스에서 열린 한-아세안 정상회의를 계기로 만든 정책 연구 플랫폼이다. 산업연구원과 대한상의 주도로 아세안 10개국 대표 싱크탱크가 참여해 경제·통상 공조 체제를 구축하고 지속 가능한 경제협력 사업을 발굴하는 게 목표다.

이번 컨퍼런스는 올 3월 AKTD 출범 후 열린 첫 컨퍼런스다. 15~16일 제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에 하루 앞서 각국 싱크탱크 대표를 비롯해 아세안사무국, 아세안·동아시아 경제연구소(ERIA), 아시아재단, 연세대, 한-동남아 정책협력센터의 관계자 100여명이 참여했다.

권남훈 산업연구원 원장이 ‘국가 발전을 위한 싱크탱크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하고 송경진 아시아재단 한국 대표를 좌장으로 한 전문가 토의가 이어졌다. 올해 의장국을 맡은 말레이시아의 싱크탱크 IKMAS 수피안 주소 원장은 “AKTD 출범을 환영한다”며 “의장국으로서 올해 추진하는 공동 연구와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연구원과 브루나이를 뺀 아세안 9개국 싱크탱크 대표는 조직의 기본적인 운영 방향과 세부 실행방안을 담은 AKTD 운영요령을 공식 채택했다. 브루나이도 내달 중 서명 예정이다. 산업부는 또 올 9월 말레이시아에서 열리는 제22차 한-아세안 경제장관회의를 계기로 AKTD 출범 첫해의 공동연구 성과를 보고하고 후속 컨퍼런스도 추진한다.

정인교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아세안은 우리나라의 3대 교역 파트너이자 2대 직접투자 지역이지만 지금까진 한국이 잘할 수 있거나 필요한 분야를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협력이 이뤄진 측면이 있었다”며 “AKTD가 시그니처 정책협력 프로젝트로 발전해, 한-아세안 경제협력 전략의 큰 틀 아래 장기 협력 과제를 추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