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통일부 명칭 변경, 검토할 가치 충분히 있다”

2 days ago 1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장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7.14/뉴스1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장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7.14/뉴스1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통일부 명칭 변경은 검토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정 후보자는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아주 중요한 사안”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정 후보자는 “1969년 서독 브란트 정권은 ‘전독부’를 ‘내독부’로 바꿨고, 이는 소련·영국·프랑스 등 주변국의 우려를 씻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며 “전독부는 우리말로 하면 통일부인데, 통일을 통해 대독일주의로 가려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고 운을 뗐다.

이어 “명칭 변경은 이후 독소 불가침 조약, 모스크바 협정, 바르샤바 협정, 동서독 기본 조약, 유엔 가입까지 이어졌고 독일 내부에 대지각 변동이 일어났다”며 “이제 이재명 정부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남북 관계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남북 관계가 국민의 일상을 위협하지 않도록 한반도 평화공존을 향한 작은 발걸음을 통해 사실상의 통일로 계속 나아가야 한다”며 “자유의 북진이 아닌 평화적 확장으로, 적대적 대결이 아닌 화해, 협력으로 평화의 물길을 다시 돌려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후보자는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 이후 노태우 정부가 수립한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은 35년간 보수·진보를 막론하고 계승돼 왔지만, 3년 전 사실상 폐기됐다고 본다”며 “그 이후 반공통일론으로 회귀했고, 북측이 남측을 ‘주적’으로 규정하며 적대·군사적 교전 상태로 되돌아간 것은 상호적·상대적 결과물”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폐허가 된 남북 관계를 복원하고 무너진 한반도 평화공존 체제를 재구축해야 한다”며 “멈춰 선 1단계 화해, 협력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앞서 정 후보자는 통일부의 명칭 변경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남북의 현실에 맞는 이름을 쓰는 방안을 논의하겠다는 것인데, 일각에서는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론’에 동조하는 것이라며 반발이 나오기도 했다.

정 후보자는 국회에 제출한 서면답변에서도 “한반도 및 국제질서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남북 관계 복원 및 한반도 평화 구축을 위해 통일부 명칭 변경을 포함해 통일부의 역할 및 대북정책 추진 방향 전환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송치훈 기자 sch53@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