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장관 기자간담회
9·19 합의 복원 선제조치
"두 국가, 영구분단은 아냐"
정동영 통일부 장관(사진)이 9·19 남북군사합의에 명시된 접경지역 내 군사훈련을 선제적으로 중단하는 문제를 군 당국과 논의 중이라고 25일 밝혔다. 이날 정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앞서 이재명 대통령이 밝힌 '적대행위 중단' 방안을 묻는 질문에 이처럼 답변했다. 이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뉴욕 유엔총회 연설에서 △체제 존중 △흡수통일 포기 △적대행위 중단 등 대북정책 3원칙을 제시했다.
정 장관은 간담회에서 "9·19 합의가 복원되기 전이라도 군사분계선 일대 사격훈련과 실기동훈련을 중지하는 것이 맞는다는 게 통일부 입장"이라며 "국방부와 관련 사안을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자신이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등에서 이 문제를 적극 제기하고 있음을 시사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그는 9·19 군사합의가 체결된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약 5년간 지속된 접경지역의 평화를 되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9·19 군사합의가 복원되기 전이라도 한국군이 선제적·단계적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정 장관은 미북 대화를 조속히 재개해 북한 핵 활동을 중단시켜야 한다고도 말했다. 그는 "이 시간에도 북한의 우라늄 원심분리기가 4곳에서 돌고 있다"면서 "90% 이상 (무기급) 고농축 우라늄 보유량을 2000㎏까지 추정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 장관은 전날 자신이 '평화적 두 국가'를 거론해 논란이 불거진 것에 대해 "두 국가라는 것과 북한의 국가성을 인정하는 것이 영구 분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김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