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연 "IFRS 18, 투자자 정보 유용성 저해 우려"

3 weeks ago 12

[이데일리 신하연 기자] 2027년부터 시행되는 새 국제회계기준(IFRS) 18이 기업 영업이익의 정보 유용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상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29일 ‘IFRS18 도입에 따른 영업이익 개념 변화와 제도적 대응과제’ 보고서에서 “IFRS 18의 잔여 범주 방식에 따른 영업이익은 지속성, 가치관련성, 비교가능성 측면에서 모두 K-IFRS 영업이익 대비 상대적으로 열위한 특성을 보였다”며 이같이 밝혔다.

IFRS 18은 손익계산서에서 영업손익 등 범주별 중간 합계를 신설하고, 영업손익을 투자나 재무 등 범주가 아닌 ‘잔여’ 개념으로 측정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손익을 영업·투자·재무 세 가지 범주로 나누고, 투자·재무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모든 항목을 영업손익에 포함하는 구조다. 이에 따라 일시적·비반복적 항목까지 영업이익에 포괄되면서, 투자자들이 기업의 경상적 성과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연구위원은 “일시적·비반복적 항목을 포함하는 집합적 영업이익이 기업의 경상적이고 지속적인 성과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함에 따라, 투자자 관점의 정보 유용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IFRS 18 국내 도입에 있어 투자자가 기업의 지속적·경상적 성과를 직관적이고 일관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경상 영업성과 정보를 명확한 기준과 방식에 따라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연구위원은 “경상적 영업성과를 명확한 기준과 방식에 따라 식별·제공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며 “영업이익 정의 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비경상 손익 정보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시 체계 보완이 요구된다”고 했다.

또한 기업들이 경영진이 정의한 성과측정치(MPM)를 활용해 실질적 성과 정보를 보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MPM은 영업성과 정보의 투자자 유용성을 보완하기 위한 사실상 필수적인 보충적 성과측정치에 해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