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전 발생한 10·29 이태원 참사 관련 징계받은 공무원이 소수에 그쳤다는 지적이 나왔다. 앞서 정부는 합동 감사 결과 경찰, 용산구청, 서울시청 관련자 62명이 참사 대응에 책임이 있거나 후속 조치 과정에서 비위가 확인됐다고 밝힌 바 있지만 실제 책임을 지게된 이들은 얼마 없었던 것.
29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양부남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행정안전부 등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태원 참사 대응 과정에서 성실의무를 위반했다는 이유로 징계받은 공무원은 9명에 그쳤다.
징계 유형별로는 ▲해임 4명 ▲정직 1명 ▲감봉 3명 ▲견책 1명으로, 이 중 8명은 경찰이었다.
그 중에서도 이태원 참사 관련 경찰 내부 보고서를 삭제한 혐의를 받은 박성민 전 서울경찰청 공공안녕정보외사부장과 부실 대응 혐의를 받은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 등은 해임됐다. 김광호 전 서울경찰청장은 정직 3개월 처분을 받았다.
참사 주요 책임기관 중 하나인 용산구청에서는 참사 현장 도착 시간 허위 기재 혐의를 받은 최재원 전 용산구보건소장이 견책 처분을 받았다.
이외에 행안부, 서울시, 소방청에서는 징계받은 공무원이 없었다.

![민주노총 '새벽배송' 금지 제안에 소비자 반발 [짤e몽땅]](https://amuse.peoplentools.com/site/assets/img/broken.gif)



![[포토] 한농대 이주명 총장, 장기현장실습생 소집안전교육 실시](https://dimg.donga.com/wps/NEWS/IMAGE/2025/10/29/132661191.2.jpg)




![엄지성 이어 조규성·이한범도 포스텍 울렸다! 미트윌란, 노팅엄 원정서 3-2 승리…포스텍의 노팅엄, ‘패패무무패패’ 멸망 [유로파리그]](https://pimg.mk.co.kr/news/cms/202510/03/news-p.v1.20251003.f2964094c0e0447f84af28c5f48d0e9a_R.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