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징계받은 공무원 9명 뿐…대부분 경찰

10 hours ago 3

사회

‘이태원 참사’ 징계받은 공무원 9명 뿐…대부분 경찰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징계 받은 공무원이 소수에 그쳤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행정안전부 자료에 따르면, 참사 대응 과정에서 징계를 받은 공무원은 9명에 불과하며, 그 중 8명이 경찰이었다.

특히, 경찰 내부 보고서를 삭제한 전 서울경찰청 부장 등은 해임되었지만, 행안부와 서울시, 소방청에서는 징계받은 공무원이 없는 상황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를 하루 앞둔 28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참사 골목에 마련된 추모 게시판에 시민들이 남겨놓은 글귀가 붙어 있다. [뉴스1]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를 하루 앞둔 28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참사 골목에 마련된 추모 게시판에 시민들이 남겨놓은 글귀가 붙어 있다. [뉴스1]

3년 전 발생한 10·29 이태원 참사 관련 징계받은 공무원이 소수에 그쳤다는 지적이 나왔다. 앞서 정부는 합동 감사 결과 경찰, 용산구청, 서울시청 관련자 62명이 참사 대응에 책임이 있거나 후속 조치 과정에서 비위가 확인됐다고 밝힌 바 있지만 실제 책임을 지게된 이들은 얼마 없었던 것.

29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양부남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행정안전부 등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태원 참사 대응 과정에서 성실의무를 위반했다는 이유로 징계받은 공무원은 9명에 그쳤다.

징계 유형별로는 ▲해임 4명 ▲정직 1명 ▲감봉 3명 ▲견책 1명으로, 이 중 8명은 경찰이었다.

그 중에서도 이태원 참사 관련 경찰 내부 보고서를 삭제한 혐의를 받은 박성민 전 서울경찰청 공공안녕정보외사부장과 부실 대응 혐의를 받은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 등은 해임됐다. 김광호 전 서울경찰청장은 정직 3개월 처분을 받았다.

참사 주요 책임기관 중 하나인 용산구청에서는 참사 현장 도착 시간 허위 기재 혐의를 받은 최재원 전 용산구보건소장이 견책 처분을 받았다.

이외에 행안부, 서울시, 소방청에서는 징계받은 공무원이 없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