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전년比 탄소배출 43%↓… 2050년 온실가스 배출 ‘0’ 도전

6 hours ago 2

온실가스 배출량 5300톤 감축, Scope 3 42.9% 줄여
29개 점포 에너지 절약 설비 도입, 운영 효율 강화
공급망 기후 리스크 분석 및 친환경 상품 전환 전략

2025 이마트 넷제로 보고서 표지.

2025 이마트 넷제로 보고서 표지.
이마트는 22일 탄소중립(Net Zero) 목표 달성을 위한 성과와 전략을 담은 ‘2025 넷제로 보고서’를 발표했다.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목표로, 2018년 대비 2030년까지 32.8% 감축을 중간 목표로 설정했다. 2024년 7월 이마트 에브리데이와의 합병을 반영해 탄소 배출량 산정 기준을 재정비했으며, 제품 생산부터 물류까지 포함한 간접 배출(Scope 3) 계산 체계를 개선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점포와 물류센터에서 발생한 직접 배출(Scope 1) 및 전기 사용으로 인한 간접 배출(Scope 2)은 총 52만2502톤으로, 예상 배출량(BAU) 대비 5300톤 감축했다. 이는 대형 점포 2~3개의 연간 탄소 배출량에 해당한다. Scope 3 배출량은 2024년 약 390만 톤으로, 전년도 683만 톤 대비 42.9% 감소했다. 이마트 에브리데이의 43만 톤을 포함해도 총 433만 톤으로, 2023년 이마트 단독 Scope 3 배출량보다 250만 톤 줄었다.

이마트는 ▲운영효율 개선 ▲설비투자 ▲재생에너지 ▲상쇄배출권 등 4대 감축 전략을 통해 성과를 달성했다. 2024년에는 냉난방 효율 개선, LED 조명 도입,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를 추진했으며, 전국 29개 점포에 터보 냉동기, 고효율 압축기, 태양광 발전기, 저전력 배기팬, 에어커튼 센서 등 에너지 절약 설비를 설치했다. 또한, BEMS(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 기반 냉난방 자동제어와 IoT 온도센서를 확대 적용했으며, 직원들은 조명 절전, 냉장설비 문 닫기 등 실천을 통해 감축 효과를 높였다.

보고서는 TCFD 권고안에 따라 폭우, 폭염, 가뭄 등 물리적 위험과 탄소세, 기술, 시장 변화 등 전환 리스크를 분석하고 재무 영향을 예측했다. 공급망 기후 리스크를 다룬 ‘스페셜 리포트’를 신설해 수산물, 축산물, 과채류 품목의 위험 노출 가능성과 재무 영향도를 평가하고, 스마트팜 및 친환경 인증상품 중심의 전환 전략을 제시했다.

이마트의 탄소중립 노력은 이번 보고서 이전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2017년 유통업계 최초로 모바일 영수증을 도입해 2023년까지 2억8000만 장의 종이 영수증을 절감했으며, 이를 통해 약 2800톤의 탄소 배출을 줄였다.

이마트 앱에 탄소중립포인트 기능을 탑재해 모바일 영수증 발급, 탄소중립포인트 적립 상품 구매, 세제 및 화장품 리필스테이션 이용 시 포인트를 적립하도록 했다. 적립 포인트는 연금으로 교환 가능해 고객의 친환경 실천을 장려하기도 했다.이경희 이마트 ESG담당은 “2050 넷제로 목표는 실행력과 체계적 투자로 가능하다. 공급망 기후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ESG 경영을 강화해 지속가능한 유통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김상준 기자 ksj@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