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캠으로 일상도 감시?”…스마트폰까지 장악한 북한 해킹조직

4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북한 해킹 조직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PC를 원격 조종해 주요 데이터를 삭제하고 악성코드를 유포한 정황이 발견됐다.

특히 해커는 피해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구글 기능을 활용해 스마트폰을 초기화한 후, 감염된 PC를 통해 지인들에게 악성파일을 전송하는 새로운 방식의 공격을 감행했다.

전문가는 이러한 공격이 개인의 일상 속으로 침투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보안 강화를 위한 사용자와 제조사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경고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PC 원격 조종해
전부 삭제 공격 정황 발견

장기간 잠복해 계정 탈취
모니터 웹캠 활용 정황도

스마트폰.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연합뉴스]

스마트폰.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연합뉴스]

북한 배후 해킹 조직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PC를 원격 조종해 사진과 문서, 연락처 등 주요 데이터를 통째로 삭제하는 방식의 사이버 공격을 수행한 정황이 발견됐다.

10일 정보보안기업 지니언스 시큐리티 센터의 위협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배후가 유력한 사이버 공격자가 개인 정보 탈취 수준을 넘어 스마트폰·태블릿·PC 등 현실 세계에서 직접 피해를 일으킨 사례가 최초로 발견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9월 5일 해커가 국내 한 심리 상담사의 스마트폰을 초기화하고 탈취한 카카오톡 계정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 파일을 지인들에게 보냈다.

또 같은 달 15일에는 한 북한 인권 운동가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도 초기화됐고, 탈취된 카카오톡 계정을 통해 지인 36명에게 악성 파일이 동시다발적으로 유포됐다.

카톡 메시지를 통한 악성코드 유포는 신뢰가 있는 지인 관계를 위장한 전형적인 사회공학 기반 북한발 해킹 공격으로 분석됐다.

특히 이번 사건에서는 전례 없는 공격 수법이 추가로 발견됐다.

해커는 피해자의 스마트폰, PC 등에 침투해 장기간 잠복하며 구글 및 국내 주요 정보기술(IT) 서비스 계정 정보 등을 탈취했다.

이후 스마트폰의 구글 위치 기반 조회를 통해 피해자가 자택이나 사무실 등이 아닌 외부에 있는 시점을 확인한 뒤 구글 ‘내 기기 허브’(파인드 허브) 기능을 통해 스마트폰을 원격 초기화했다. 동시에 자택·사무실 등에 있는 이미 악성코드에 감염된 PC나 태블릿을 통해 지인들에게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등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유포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해커가 피해자가 외부에 있음을 확인하는 데 PC 등에 탑재된 웹캠을 활용한 정황도 있다고 설명했다.

악성코드에 웹캠, 마이크 제어 기능이 포함돼 있었는데, 감염된 웹캠을 통해 피해자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기기 데이터 삭제와 계정 기반 공격 전파 등 여러 수법을 결합한 전략은 기존 북한발 해킹 공격에서 전례가 없었다”며 “북한의 사이버공격 전술이 사람들의 일상으로 파고드는 실질적 파괴 단계로 고도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우려했다.

지니언스는 해킹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로그인 2단계 인증을 적용하고 브라우저 비밀번호 자동 저장을 삼갈 것을 조언했다.

또 PC 미사용 시 전원 차단 등 사용자 차원의 보안 수칙과 더불어 디지털 제조사 차원의 다중 인증 체계 강화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1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