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날마다 심장 뜁니다”...인건비를 ‘원화’로 주기 어려운 국내 블록체인 업계, 왜?

3 weeks ago 1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내 블록체인 인프라 기업의 임원들은 가상자산으로 벌어들인 수익으로 월급 지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법적 규제의 모호성 때문에 장외거래도 중단한 상황이다.

가상자산 관련 기업들은 기본적인 은행 업무조차 힘들어 계약서 내 가상자산 언급 때문에 계좌 한도 조정이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받기도 했다.

금융당국은 가상자산거래소와 비영리법인의 매각을 허용하며 법인 계좌 실명 발급을 계획하고 있지만, 일반 법인의 가상자산 거래 허용은 여전히 멀기만 하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매출은 코인이나 월급은 원화로
매매 안돼 과거 투자금으로 버텨
은행 대출도 쉽지 않은 업계 상황

일반법인 매매 허용은 여전히 요원

국내의 한 가상자산거래소. 사진과 기사는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

국내의 한 가상자산거래소. 사진과 기사는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

# 국내 한 블록체인 인프라스트럭처 기업의 임원 A씨는 매달 직원 월급을 줄 때마다 골머리를 앓고 있다. 회사 매출 대부분이 가상자산으로 발생하지만 직원 월급은 원화로 지급해야 하기 때문이다.

A씨는 과거엔 비싼 수수료를 지불하고 장외거래(OTC)를 통해 보유 중인 가상자산을 매도해 월급을 주기도 했다. 다만 내부적으로 법적 규제가 모호하다고 판단해 지금은 이마저도 하지 않고 있다.

이처럼 여전히 풀리지 않은 일반 법인 계좌를 통한 가상자산 매매는 수많은 기업의 발목을 잡고 있다.

A씨는 “기존에 받았던 투자금으로 직원 월급을 지급하며 버티고 있지만 쉽지 않다”면서 “법인 계좌를 통한 가상자산 매매가 허용될 때까지 기다리는 방법밖에 없다”고 호소했다.

가상자산 관련 기업은 기본적인 은행 업무도 어렵다.

국내에서 가상자산 관련 사업체를 운영 중인 B씨는 “창업 이후 법인을 만든 뒤 본격적으로 매출이 발생해 통장 한도를 조정하기 위해 은행을 찾았다”면서 “하지만 은행에선 증빙 서류인 계약서 안에 ‘이더리움’이라는 단어가 있어 한도 조정이 불가능하다는 답변이 돌아왔다”고 밝혔다.

직접 가상자산 관련 회사를 운영하지 않지만 관련 산업 종사자라는 이유로 불이익을 받은 사례도 있다.

국내 한 가상자산 관련 기업에 재직 중인 C씨는 최근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대출을 알아보고 있다. 하지만 그는 가상자산 관련 회사에 다닌다는 이유로 예상한 만큼 대출을 받을 수 없었다.

C씨는 “대출을 신청했는데 은행에서 가상자산 관련 기업에 다닌다는 이유로 연봉의 절반 정도만 인정받을 수 있다고 들었다”며 “다니는 회사 때문에 피해를 보는 것 같아 억울하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 금융당국은 ‘법인의 가상자산시장 참여 로드맵’ 후속 조치로 지난 1일부터 가상자산거래소와 비영리법인의 가상자산 매각을 허용하고 있다. 하반기 중 상장사 및 전문투자자로 등록된 법인에 대한 실명 계좌를 시범 발급할 계획이나 일반 법인의 가상자산 매매 허용은 요원하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