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는 28일(현지시간) “한국의 개최 불안: 유서 깊지만 호텔이 부족한 도시”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24만 명의 인구를 가진 도시 경주는 대규모 국제 행사를 개최할 만한 기반 시설이 부족하다”고 밝혔다.
NYT는 “주최 측은 경주 인근 지역 호텔, 콘도, 기업 연수시설 등을 프레지덴셜 스위트(PRS) 급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데 약 800만달러(약 115억원)를 투자했다”며 “경주에 있는 모든 정상급 인사들에게 숙소를 제공하는 데 성공했다”고 했다.
그러나 일부 기업인들은 인근 도시에서 APEC 행사장으로 출퇴근해야 했다면서 “충분한 숙박 시설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주최 측은 크루즈선 2척을 임차해 인근 포항에 정박시켜 호텔로 활용해야 했다”고 비판했다.NYT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글로벌 주요 기업인 등 2만명이 경주에 모이지만 대규모 국제행사를 치르기에는 인프라가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APEC 기간 동안 경주 내 호텔 요금이 급등한 점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NYT는 “APEC 개최지에서 6마일(약 9.6km) 이내에 13000개의 객실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대부분 예약이 빠르게 마감됐다”며 “포럼 개최 시기가 가을 관광 성수기와 겹치면서 호텔 요금이 급등했다”고 설명했다.
또 K-POP의 발상지인 한국은 경주에서 그 문화의 뿌리를 보여주는 것이 목적이었지만, 이곳을 여행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의문은 ‘어떻게 가지, 어디서 묵지’였다고 외신은 지적했다. NYT는 이 같은 인프라 부족의 원인으로 경주가 개발이 엄격히 규제돼 있다는 점을 꼽았다.외신은 “경주는 고대 왕국의 중심지로,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왕릉과 사찰 등 풍부한 문화유산을 지닌 도시로 잘 알려져 있다”며 “이 가운데 1000년이 넘은 문화유산도 포함돼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이유로 경주는 국제공항도 없고, 대규모 사절단을 이끌고 여행하는 수십 명의 외국 고위급 인사 및 기업 간부들을 수용할 만큼의 대규모 고급 호텔도 없다”고 진단했다.
한국의 정치 상황도 APEC 준비에 걸림돌이 됐다고 평가했다. NYT는 “경주를 개최지로 지정한 지 6개월 뒤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하고 국회에 의해 탄핵됐다“며 “APEC 준비는 정치적 혼란 속에서 우선순위가 아니었으며, 이 혼란은 이재명 대통령이 당선될 때까지 가라앉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APEC 정상회의 기간 동안 연인원 2만 명이 투숙할 수 있는 충분한 숙박시설을 민관 협력을 통해 마련했다”고 즉각 반박했다.외교부는 “28일 기준 1만 명 이상이 이미 투숙 중으로, 전체 수용 규모의 절반에 해당하며 숙소 부족 현상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경주 내 호텔 요금이 급등한 것과 관련해서는 “숙박업주들의 자발적인 자정 노력과 경주시의 모니터링 등을 통해 현재 예약가능한 숙박업소 요금은 가을 단풍 성수기임을 고려할 때 과도하게 높은 수준은 아님을 알려드린다”고 해명했다.
김예슬 기자 seul56@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

12 hours ago
2
![[속보]美연준, 0.25%P 기준금리 인하…양적긴축도 종료](https://dimg.donga.com/wps/NEWS/IMAGE/2025/10/30/132565587.1.jpg)
![파월 “美 노동시장 둔화 뚜렷…고용 하방 위험 커졌다”[Fed 워치]](https://static.hankyung.com/img/logo/logo-news-sns.png?v=20201130)







![엄지성 이어 조규성·이한범도 포스텍 울렸다! 미트윌란, 노팅엄 원정서 3-2 승리…포스텍의 노팅엄, ‘패패무무패패’ 멸망 [유로파리그]](https://pimg.mk.co.kr/news/cms/202510/03/news-p.v1.20251003.f2964094c0e0447f84af28c5f48d0e9a_R.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