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이젠 밥값보다 비싸네'…케이크 한 조각 1만원에 '당황' [이슈+]

15 hours ago 6

출처=유튜브 '추비추','바이바나'

출처=유튜브 '추비추','바이바나'
"케이크 한 조각 가격이 오늘 먹은 점심값보다 비싸요"

최근 스타벅스와 투썸플레이스 등 주요 프랜차이즈 카페들이 선보인 신제품 조각 케이크·미니 케이크 가격이 최대 1만2900원 이상까지 치솟으면서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점심값보다 비싸다는 불만이 일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 소재의 한 프렌차이즈 카페에서 만난 교직원 정모(40) 씨는 "케이크에 커피 한잔하면 요새 비싸다는 밥집보다 비싸다"며 "케이크 가격에 500원만 보태면 순댓국도 먹는다. 오늘 점심으로 먹은 콩나물국밥보다도 비싸다"고 꼬집었다.

◇'전국 직장인 평균 점심값 9500원' < '스타벅스·투썸 신제품 케이크'

스타벅스 케이크/사진=유지희 기자

스타벅스 케이크/사진=유지희 기자

5일 NHN페이코에 따르면 올해 전국 직장인의 평균 점심값은 9500원으로, 2017년(6000원)보다 58%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강남(1만4000원) △여의도·서초(1만3000원) △마곡·판교(1만2000원) △송파·종로(1만1000원) △가산·구로(1만원) △강동·동대문(9000원)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올해 여름을 겨냥해 출시된 스타벅스의 '블랙 사파이어 치즈케이크' 가격은 1만2900원으로 평균 점심값을 훌쩍 넘어선다. 현재 스타벅스는 지난달 17일부터 해당 케이크 누적 판매량 10만개 돌파를 기념해 9900원에 판매하고 있다

스타벅스는 올해 1월 해리포터 테마 케이크 '해피버스데이 해리 케이크'를 1만2900원, '9와 4분의 3승강장 케이크'를 7900원에 선보이기도 했다.

투썸플레이스 신제품 조각 케이크도 1만원에 육박한다. '멜론생', '샤인생' 쁘띠(조각)케이크는 각각 9500원, 귤생은 8800원, 옥수수생크림은 8000원에 출시됐다. 할리스는 '애플망고 듬뿍 라운드'(7900원), 동글동글 멜론 돔케이크'(6800원)'를 내놨다.

근처 대학생 강규범(26)씨는 "스타벅스 디저트는 기프티콘 쓸 때만 먹는다"며 "크기가 커졌다지만 그렇게 커진 지 잘 모르겠고 한 조각에 만원이 넘는 건 심하다"고 했다. 김재민(24)씨도 "내 돈 주고는 먹을 일 없다"고 잘라 말했다..

스타벅스 굿즈 수집이 취미였던 직장인 김예인(31)씨는 "가격이 너무 양아치 같다. 이렇게 비싼데도 누군가 사 먹으니 계속 파는 것 같다. 요즘은 스타벅스나 투썸보다는 저가 프렌차이즈 카페 위주로 간다"고 말했다.

방송국에 다니는 오모(28) 씨는 "투썸 신제품을 먹어봤는데 인위적인 맛에 실망했다. 공장에서 찍어 가져오는 거면서 개인 베이커리보다 비싼 게 말이 되냐"며 "너무 비싸 차라리 밥을 한 끼 더 먹겠다"고 지적했다.

투썸플레이스 신제품 케이크/사진=유지희 기자

투썸플레이스 신제품 케이크/사진=유지희 기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투썸 신메뉴 나왔는데 가격 점점 심하다", "요즘 프랜차이즈 카페 디저트 가격은 가벼운 마음으로는 못 사 먹겠다", "야금야금 기분 나쁘게 가격 올린다"는 불만이 이어졌다.

디저트 리뷰 유튜버들은 "투썸 신메뉴 9500원은 진짜 비싸다", "스타벅스는 케이크 제발 맛에 더 신경 썼으면 좋겠다"고 혹평했다.

디자인 논란도 나왔다. 특히 스타벅스의 '블랙 사파이어 치즈케이크'는 누리꾼들 사이에서 '개똥 케이크'라는 별명까지 붙었다.

한 소비자는 "내가 개똥 케이크에 1만3000원을 썼다고?"라며 황당함을 표했고, 또 다른 누리꾼은 "케이크 위 토핑은 우리 아파트 화단에도 널려 있다"고 비꼬았다

◇"크기·중량 달라"…업체의 해명과 소비자 '온도 차'

스타벅스 케이크/사진=유지희 기자

스타벅스 케이크/사진=유지희 기자

가격에 대한 부담감은 카페 이용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서울 마포구 투썸플레이스 직원은 "케이크만 시켜서 먹고 가는 손님이 많아졌다"며 "둘이서 케이크 하나 먹으면 커피 두 잔 가격이니까 그렇게 시켜서 먹고 가는 경우도 잦다"고 말했다.

서울 서대문구 스타벅스 직원도 "커피+케이크 조합보다는 케이크만 단독으로 시켜 포장하거나 먹고 가는 손님이 많아졌다"고 했다.

스타벅스 측은 "최근 1~2인 가구가 증가하고 소규모 모임이나 개인적인 기념을 즐기는 문화가 확산하면서, 이러한 소비 트렌드를 반영해 기획된 미니 홀 케이크"라며 "크기나 중량, 사용되는 원재료 양에서 기존 조각 케이크와 확연히 차이가 있으며, 실물을 직접 보면 기존 케이크보다 크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 해명했다.

이어 "이 때문에 가격이 다소 높아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소비자 니즈를 반영한 가격과 구성"이라며 "다양한 형태와 가격대의 케이크를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고객들이 취향과 상황에 맞춰 선택할 수 있도록 미니 홀 케이크부터 조각 케이크까지 폭넓은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프랜차이즈 카페들은 최근 잇따라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 투썸플레이스는 지난 3월 케이크와 커피 등 메뉴 58종 가격을 평균 4.9% 올렸다.'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은 3만7000원에서 3만9000원으로 인상됐으며 레귤러 사이즈 커피 23종도 200원씩 비싸졌다.

스타벅스는 1월 톨 사이즈 음료 22종 가격을 200~300원 인상했고, 할리스도 같은 날 일부 제품 가격을 올렸다. 이는 정부가 물가 안정 기조에 동참해 달라고 강조한 직후여서 비판이 더욱 거셌다.

이영애 인천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케이크 한 조각 가격이 1만원 이상으로 책정되는 것은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적정하다는 느낌을 받기 어렵다"며 "디저트는 식사와 달리 필수재가 아닌 선택재이기 때문에 가격이 크게 오를수록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부담은 더욱 커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교수는 "특히 현재처럼 경기 상황이 좋지 않고 생활물가 전반이 상승하는 시기에는 소비자들이 작은 사치품부터 지출을 줄이게 된다”며 “이런 상황에서 가격 대비 만족도가 낮다고 판단되면 소비자들의 불만과 반감이 커지고, 결국 브랜드 이미지에 장기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과대포장 논란도 재점화

출처=온라인커뮤니티

출처=온라인커뮤니티

과대포장 논란도 재점화됐다. 투썸플레이스는 올해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시즌 한정으로 '화이트 플라워 케이크' 등 2종의 플라워 시리즈를 출시했다.

그러나 화려한 2단 꽃장식이 실제로는 식용이 아닌 장식물로 구성돼 있었고, 겉면 아이싱조차 없이 띠지로 감싸져 있었다. 해당 케이크는 4만7000원에 판매됐다.

소비자들은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 실물 사진을 공유하며 "띠지 벗기면 맨 빵", "집에서 만든 게 더 낫다", "이 정도면 소비자 기만이다"라는 비판을 쏟아냈고, "연예인 마케팅에만 집중하고 제품 퀄리티는 뒷전"이라는 지적했다.

앞서 투썸은 지난 2월에도 ‘피스타치오 딸기 무스’ 케이크에 식용이 아닌 부직포 재질의 장식을 사용해 소비자 오인을 초래했다는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당시에도 "겉면을 부직포로 감싸 소비자가 식용으로 오인하게 한다"는 비판이 제기됐으며, 이번 케이크 역시 유사한 방식으로 제작돼 "정신 못 차렸다"는 지적이 나왔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