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韓 소버린 AI 발전 돕겠다…삼성·SK 파트너십 협력 희망”

3 hours ago 3

오픈AI코리아 출범 기자간담회 개최…제이슨 권 CSO 참석
“소버린 AI, 경쟁 아닌 협력…한국어 성능·데이터 주권 강화”
“삼성, SK 등 반도체·AI 인프라 기업과 파트너십 열려 있다”

제이슨 권 오픈AI(OpenAI) 최고전략책임자(CSO)가 10일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에서 열린 오픈AI(OpenAI) 코리아 출범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09.10. 서울=뉴시스

제이슨 권 오픈AI(OpenAI) 최고전략책임자(CSO)가 10일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에서 열린 오픈AI(OpenAI) 코리아 출범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09.10. 서울=뉴시스
오픈AI가 한국 법인 출범을 공식화한 가운데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인공지능(AI)컴퓨팅센터 사업(초고성능 AI 인프라 구축 사업)과 소버린 AI 정책 협력 의지를 밝혔다.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는 10일 오전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에서 열린 오픈AI코리아 출범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 혁신적인 기업, 빠른 디지털 도입 속도를 갖춘 AI 혁신의 최적지”라며 이같이 밝혔다.

권 CSO는 “한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챗GPT 유료 구독자 수 1위 국가이자 전 세계 API 개발자 활동 상위 10위권에 있는 시장”이라며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 AI 대전환 과정에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은 오픈AI에 있어 중요한 시장 중 하나라며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 협력 의사에 대한 취재진 질문에 “이 중요성이 우리가 컴퓨팅 파트너십을 어떻게 구상하는지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답했다. 구체적 계획은 언급하지 않았지만 한국 내 데이터센터 설치 가능성 등도 배제하지 않았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MS) 애저 외에도 SK, 삼성 등 반도체·인프라 기업들과 다양한 방식의 협력을 논의할 수 있다”며 “클라우드 서비스뿐 아니라 하드웨어·칩 부문까지 다양한 파트너십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 정부가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추진하는 등 소버린 AI 정책에 대해서도 협력 가능성을 보였다. 그는 “한국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 강점을 가진 풀스택 AI 생태계를 갖추고 있다”며 “이러한 기반은 한국 사회에 소버린 AI 역량을 제공하면서도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더욱 강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성공을 이뤄왔다. 소버린 AI도 마찬가지로 경쟁이 아닌 협력을 통해 더 많은 사람이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오픈AI는 카카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오는 23일 카카오 개발자 컨퍼런스 ‘이프카카오’에서 양사가 함께 개발한 AI 에이전트 콘셉트를 공개할 계획이다. 권 CSO는 카카오가 핵심 파트너라며 “오픈AI API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함께 개발할 것이다. 장기적으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해 한국 이용자에게 적합한 기능을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오픈AI코리아는 전 세계 12번째 오픈AI 지사이자 아시에서는 싱가포르, 일본에 이어 3번째 지사다. 한국 법인 지사장도 곧 발표할 예정이다.

오픈AI는 오는 11일 서울대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학문 전반의 AI 연구 협력을 본격화한다. 이날 오후에는 기업과 정부, 학계 등 다양한 분야의 주요 인사들을 초청해 오픈AI코리아 출범을 축하하는 행사를 열 것으로 전해졌다. 오픈AI 측에서는 권 CSO와 브래드 라이트캡 최고운영책임자(COO) 등이 참석한다.

12일에는 파운더스 데이를 열어 스타트업, 개발자, 밴처캐피탈(VC) 간 네트워킹의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11월에는 개발자와 스타트업, AI 연구자들을 한 자리에 모아 오픈AI의 최신 기술을 공유하는 ‘데브데이 익스체인지’를 국내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다음은 권 CSO와의 일문일답.

-오픈AI코리아의 규모와 인력 계획은, 한국 지사장은 언제 선임되는가
“한국과의 파트너십은 장기적 여정이다. 해외 지사 확장은 현지 문화와 오픈AI 문화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진행한다. 향후 더 구체적인 소식을 전해드릴 수 있도록 하겠다. (지사장도) 조만간 발표드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데이터센터 투자,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 참여 계획은
“한국은 아태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시장 중 하나이며 구독자와 개발자 활동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 중요성은 우리가 컴퓨팅 파트너십을 어떻게 구상하는지에 반영될 것이다.”

-MS 애저 외 다른 클라우드 파트너십 계획은
“클라우드 파트너십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다. 하드웨어·칩 차원에서는 삼성·SK 등과 협력할 여지도 있다.”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부대행사로 열린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한 걸로 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등 한국 대기업 총수, 최고경영자(CEO)들과의 만남에서 어떤 이야기가 오갔는가
“장기적 관계 구축과 신뢰 형성이 핵심 주제였다.”

-카카오 협력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카카오는 핵심 파트너다. API를 기반으로 장기적으로 다양한 기능과 솔루션을 함께 개발할 것이다.”

-AI 기본법 초안 공개 지연에 대한 입장은
“정부 규제와 입법 과정에서 우리는 파트너로서 역할을 하고자 한다. 안전성, 프라이버시, 보안은 선제적으로 기술을 개발해 온 영역이며 한국 정부와도 긴밀히 협력하겠다.”

-한국 교육 시장 진출 계획은
“한국은 교육을 매우 중시하는 사회다. AI를 통해 교육 경험과 학습 품질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현지 파트너와 함께 교육 혁신을 지원할 것이다.”

-한국 정부의 소버린 AI 추진은 잠재적 경쟁 아닌가
“한국은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모두 강점을 지닌 풀스택 AI 생태계를 갖고 있다. 이는 협력 기반의 소버린 AI 역량 강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경쟁이라기보다 협력 대상이다.”

-한국 스타트업 투자·인수 계획은, 카카오 지분 취득 가능성은
“현재 인수 논의는 없다. 그러나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와의 협력에는 적극적이며 우선 API 생태계 확대가 목표다.”

-회사의 중장기적 혁신 방향은
“범용인공지능(AGI)은 인류 전체에 혜택을 줘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 산업, 사회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파트너십이 AGI 비전의 핵심이다.”

-챗GPT 한국어 성능 개선 계획은
“지속적으로 개선 중이다. 1~2년 전보다 크게 나아졌다. 현지 협력을 통해 한국어 번역과 활용 능력을 높이고 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