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전 코스피 축포…글로벌 AI 밸류체인 들썩
데이터센터 공격적 확장에
AI 반도체·서버 수요 급증
D램·낸드 가격도 동반상승
메모리 슈퍼사이클 가시화
HBM 올해 95% 성장 전망
증권사 목표주가 잇단 상향
삼전 12만원·하닉 50만원
미국 오픈AI와 삼성전자·SK하이닉스 간 ‘반도체 동맹’이 마이크론을 거쳐 코스피에 3500선 돌파라는 훈풍으로 돌아왔다.
인공지능(AI) 산업이 주도하는 메모리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가시화되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물론 중국·일본·미국의 반도체 기업 주가도 동반 상승했다. 특히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뿐만 아니라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전후방 기업 주가가 동시에 급등했다. 말 그대로 AI 밸류체인 전체가 들썩이기 시작한 셈이다.
AI 확산으로 전 세계에 데이터센터가 새롭게 들어서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AI 반도체와 기존 서버 수요가 급증하면서 D램 메모리와 낸드플래시 가격 역시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1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마이크론(8.86%), 웨스턴디지털(8.77%), 인텔(7.12%) 등 메모리 회사와 램리서치(6.64%),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6.35%) 등 장비업체 주가가 급등했다.
일본 소프트뱅크와 오픈AI가 손잡고 AI 인프라스트럭처를 대대적으로 구축하는 이른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가속도가 붙으면서 HBM이 두 배 이상 더 필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최근 글로벌 주문형 반도체(ASIC) 1위 업체인 브로드컴이 오픈AI로부터 100억달러 규모 반도체 주문을 수주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여기에 더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최대 월 90만장가량 D램을 공급하기로 오픈AI와 구매의향서(LOI)를 체결하자 시장이 환호한 것이다.
오픈AI는 세계 반도체시장의 ‘큰손’으로 등장한 수준을 넘어 시장 자체를 스스로 창출하고 있다. 스위스 UBS는 HBM시장의 올해 성장률을 전년 대비 96%, 내년은 55%로 각각 늘려 잡았다.
국내외 증권사들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 전망치와 목표주가를 함께 끌어올리고 있다. 맥쿼리는 삼성전자 목표주가를 26% 올려 12만원으로 제시했다.
HBM으로 투자가 몰리며 범용 D램 공급이 줄어들면 삼성전자로 수혜가 집중될 것이란 전망이다.
신한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 목표주가를 38만원에서 50만원으로 32%나 상향 조정했다. SK증권 48만원, KB증권 46만원 등 다수 증권사가 SK하이닉스 목표주가를 올리고 있다.
슈퍼 사이클 도래에 따라 반도체 소부장주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공정 투자를 본격화하고 HBM뿐만 아니라 범용 D램, 낸드플래시까지 업종 전반이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면서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도 실적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차용호 LS증권 연구원은 “그동안 반도체 업종 성장이 HBM 중심으로 진행돼 국내 소부장 업체의 수혜는 제한적이었다”며 “그러나 이번 상승 사이클은 범용 메모리가 기여하는 바가 월등히 커서 소부장 업체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져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다수의 증권 전문가는 반도체 소부장주가 추석 이후에도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HBM 테스트 장비 업체인 유니테스트는 이날 2시 30분 현재 1만8300원, 테크윙은 6만2100원에 거래 중이다. 지난 9월 이후 주가 상승률은 각각 43.41%, 73.46%에 이른다.
송혜수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유니테스트는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에 대한 4분기 HBM4 테스트 장비 공급이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며 “테크윙은 마진이 높은 장비를 HBM 업체 3사(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에 모두 공급할 가능성이 높아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반도체 장비기업 피에스케이홀딩스도 지난 9월 이후 상승률이 37.5%다.
박상욱 신영증권 연구원은 “고대역폭플래시메모리(HBF)가 상용화되면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광액 찌꺼기를 제거하는 디스컴 장비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이라며 “반도체 소부장주 톱픽(최선호주) 중 하나로 꼽는다”고 말했다.
미국이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로 AI 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내자 이에 대한 반사효과로 중국 반도체주 역시 크게 상승했다. 이날 오후 2시 기준 SMIC는 3.1% 상승했으며 장비주인 몽타주테크놀로지는 7.7% 올랐다. 미국과의 AI 인프라 경쟁이 결국 중국 반도체 기술 자립으로 이어질 것이란 전망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