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2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전국당원대회(전당대회)를 열고 신임 당대표와 최고위원 1명을 선출한다.
당대표는 권리당원(55%)·대의원(15%) 투표, 일반 국민 여론조사(30%)를 합산해 가장 높은 지지를 얻은 후보가 당선된다. 최고위원은 황명선 의원의 단독 출마로, 권리당원 대상 찬반 투표로 선출 여부가 결정된다.
당대표 선거는 정청래·박찬대 후보(기호순) 간 2파전이다.
지난달 충청권·영남권 순회 경선에서는 정 후보가 62.77%, 62.55%를 각각 기록하며 박 후보를 앞질렀다. 박 후보는 충청권에서 37.23%, 영남권에서 37.45%의 득표율을 얻었다.
누계 득표율 상으로는 정 후보가 62.65%로 박 후보(37.35%)를 25.3%포인트 차로 앞서며 우위를 점했다.
이날 전당대회에서는 서울·강원·제주 권리당원 현장 투표와 더불어 폭우 피해로 연기된 호남권·수도권(경기·인천) 권리당원 현장 투표가 치러진다.
관전 요소는 1만6000여명인 대의원 표심이다. 유권자 구조와 표 반영 비율 등을 고려하면 대의원 1표는 권리당원 약 17표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가진다.
특히 대의원은 국회의원, 광역·기초단체장 등 조직력을 갖춘 인사들로 구성돼있다. 당원 표심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 후보 측은 대의원이 당원 표심의 전체 흐름을 뒤집기에는 역부족이며 충청·영남권 경선 결과와 최근 여론조사 결과 등을 볼 때 역전은 어려울 것이라고 보고 있다.
반면 박 후보 측은 원내에서의 높은 지지 등을 근거로 대의원 투표에서의 압승을 통한 ‘막판 뒤집기’를 기대하고 있다.
투표 결과는 이날 오후 5시께 발표된다. 신임 당대표는 전임자인 이재명 대통령의 잔여 임기를 이어받아 내년 8월까지 대표직을 수행한다. 김민석 국무총리의 공석을 채우게 될 최고위원 임기 역시 마찬가지다.
새 대표의 임기만 본다면 통상의 당대표와 비교해 절반 수준이다. 그러나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선출되는 첫 여당 대표라는 점, 또 내년 6월 지방선거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상징성과 영향력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