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PC 관세 피했지만 … 불안감 여전 [미국주식 원포인트 레슨]

2 days ago 6
입력 :  2025-04-17 16:09:2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난 11일, 미국 관세국경보호청은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주요 IT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면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조치는 중국산 수입품을 포함한 대부분의 글로벌 국가에 적용되지만 여전히 많은 상품이 높은 관세에 노출되어 있어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이 우려됩니다.

따라서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와 안정적인 통신이 요구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사진설명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 세관 업무를 담당하는 관세국경보호청은 스마트폰, 컴퓨터, 중앙처리장치(CPU)와 같은 주요 정보기술(IT) 제품에 대해 관세 부과를 면제하는 공문을 전격 발표했습니다. 이는 상호관세가 적용되는 글로벌 대부분 국가는 물론 중국산 수입품에도 적용되는 면제 조치로 확인됩니다.

전자기기 수입을 해외, 특히 중국에 의존하는 미국인 입장에서 물가 걱정을 덜 수 있는 소식입니다. 이미 글로벌 공급망에 깊이 개입해 있는 미국 테크 기업들에도 희소식입니다.

다만 글로벌 상호 관세 부과의 90일 유예 조치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관련 리스크를 본질적으로 해소할 수 없는 것처럼, 이번 일부 IT 수입품에 대한 면제는 임시방편에 그칠 수 있습니다.

특히 대만과 멕시코에서 생산되어 미국으로 수입되는 그래픽처리장치(GPU)와 서버가 언급되지 않은 점도 잠재된 불안 요소로 남아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여전히 다수 상품은 고관세에 노출된 상태입니다. 블룸버그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요 IT 기기에 대한 면제 조치는 미국의 중국산 전체 수입품 중 약 22%에 해당하는 규모가 될 것으로 추정됩니다.

나머지 8할에 가까운 상품들은 145%의 관세를 실제 내야만 미국으로 수입이 가능한 것입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공급망 차질이 빚어질 수 있습니다. 해당 관세 부과가 속히 폐지되지 못하고 장기화할수록 경제 전반의 파열음은 커질 수 있습니다. 이후 물류, 인플레이션, 기업 비용 등을 예의 주시해야 합니다.

따라서 긴장 국면 와중에 간간이 나타나는 일부 완화 조치만을 보고 공세적인 투자 대응에 나서는 것은 지양해야 합니다. 최소 국가 간 관세 협상 타결 사례가 나오거나 미국 정부 정책 초점이 경기 부양으로 옮겨간다는 신호를 확인해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트럼프 정부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일관되고 시장 반응에 교감하는 행태가 나타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감안하면 반등 국면을 활용해 포지션을 일부라도 줄여 두는 것이 낫습니다.

[서정훈 삼성증권 글로벌주식팀장]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