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전문기업 솔트룩스는 한국전력기술이 추진하는 ‘지식정보 통합플랫폼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한국전력기술이 2000년 최초 구축 후 2015년 재구축을 거쳐 약 10년간 활용돼 온 Digital Library 시스템을 개편하는 프로젝트다.
한국전력기술이 원전 및 플랜트 설계 분야에서 축적한 풍부한 프로젝트 성과물을 바탕으로 AI 시대에 맞는 지능형 통합검색 서비스와 데이터 관리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한국전력기술은 원자력 발전소 설계 회사로서 연간 약 200만 건 이상의 기술·설계 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각종 지식정보와 설계 노하우가 분산 관리되고 있어 데이터 검색 및 활용에 한계를 겪어 왔다.
이에 따라 다양한 내부 시스템에서 생산된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기록물로 이관하여 통합하고, 이를 지능적으로 검색·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지식정보 통합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솔트룩스는 자사의 AI 솔루션인 '루시아'와 'Agentic RAG'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해 지식정보 통합 생태계를 구현한다. 주요 구축 내용은 △분산된 정보의 체계적 수집 시스템 마련 △개인화된 맞춤형 추천 검색 기능 구현 △직관적인 디지털 큐레이션 환경 조성 등이다.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은 "기록은 보존이 아니라 연결"이라는 개념이다.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정보 간 연결고리를 만들어 지식으로 전환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렇게 구축된 데이터는 향후 AI 기계학습의 원천 데이터로도 활용할 수 있다.
솔트룩스는 그동안 축적한 공공기관 AI 시스템 구축 경험과 국내 최고 수준의 언어 모델 기술력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새로운 플랫폼이 구축되면 한국전력기술 임직원들은 하나의 통합 포털에서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고, 업무에 최적화된 형태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는 “기록은 단순한 보존이 아니라, 국민과 국가가 지식으로 소통하는 연결의 자산”이라며, “AI 기술을 통해 기록정보 활용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이번 사업을 계기로 공공분야의 AI 혁신을 선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원종환 기자 won04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