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소폭 서울이나 타 지자체보다 커
미분양 증가 등으로 필요성 못 느껴
국민 주거 사다리로 불렸던 주택청약종합저축 계좌가 2022년 정점을 찍은 뒤 3년 연속 감소세다. 특히 서울보다 지방과 광역시에서 이탈이 두드러지며, 광역시는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했다. 청약 무용론이 확산되는 가운데 정부의 대책에도 불구하고 해지 행렬을 막기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24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집계에 따르면 청약통장 계좌 수는 2016년 7월 1858만개에서 2021년 7월 2642만개까지 5년간 꾸준히 늘었다. 이후 2022년 7월 2702만 개로 정점을 찍은 뒤 줄곧 감소세로 돌아서 2023년 2583만 개, 2024년 2548만개를 거쳐 2025년 7월에는 2511만개로 내려왔다.
지역별로는 지방 이탈이 더 두드러졌다. 5대 광역시는 청약통장 계좌수가 2022년 530만개에서 2025년 475만개로 55만 개(-10.4%) 줄었다. 기타 지방도 같은 기간 665만개에서 614만개로 51만개(-7.7%) 줄어들어 서울(-5.3%)보다 낙폭이 컸다. 서울은 624만개에서 591만개로 33만개 감소에 그쳤다.
은행권은 금리 역전과 주택시장 침체를 주요 원인으로 꼽는다. 2022년 상반기까지만 해도 청약통장 금리는 연 2% 수준으로 기준금리(1%대)와 비슷했으나, 같은 해 하반기부터 기준금리가 급등해 2023년 초 3%대까지 치솟았다. 청약통장 금리는 뒤늦게 기존 기존 연 2.0~2.8%에 2024년 연 2.3~3.1%로 인상됐지만 여전히 3% 후반 등 시중 정기예금에 비해 매력이 떨어졌다.
아울러 서울 신축 아파트 분양가 올라가고 경쟁률도 높다는 점 등도 청약통장 포기에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고분양가 부담과 미분양 누적이 겹치며 ‘청약만 있으면 내 집 마련이 가능하다’는 기대감이 약화됐다는 것이다.
특히 서울은 로또성 청약에 대한 기대감이 아직 남아있으나 인구감소 등 이유로 지방에선 청약통장 가치 더 빠르게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은행 관계자는 “2017~2019년엔 집값이 오르고 당첨 사례가 화제가 되며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청약이 급증했다”며 “2022년 이후 금리가 치솟자 실수요자 입장에선 부담이 커져 수요가 확 줄었다”고 했다. 이어 “예전엔 마지막까지 들고 가는 통장이었지만, 지금은 금리도, 당첨 가능성도 예전만 못해 해지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