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대응 119’ 對기업 지원 강화…美 고관세 장기화 대비

3 hours ago 2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미국 고관세 정책 장기화에 대비해 대(對)기업 지원 창구인 ‘관세대응 119’를 강화한다. 개별 기업이 미국 정부에 애로 의견서를 제출하거나 미국 관세청 사전심사제도 신청도 도울 계획이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 앞)이 22일 서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본사에서 열린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기업 지원 간담회 1대 1 상담창구에서 기업 관계자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있다. 강경성 코트라 사장(왼쪽 앞 3번째) 등 관계기관 관계자도 함께 했다. (사진=산업부)

2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이날 서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서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기업 지원 간담회를 주재하고 이 같은 ‘관세대응 119’ 개편 방안을 발표했다.

관세대응 119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 직후인 올 2월 신설돼 총 7708건의 기업 관세 애로를 접수, 상담하는 통합 상담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대미 수출 관세 환경이 계속 바뀌고 있고 다수 기관이 참여하는 만큼 기업의 종합적인 애로 해결과 새 정책 마련으로 이어지는 데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는 게 산업부의 판단이다.

산업부는 ‘관세대응 119 플러스’라는 새 이름으로 관계기관 간 협력을 강화하고 개별 기업의 미국 정부 프로그램 참여도 지원키로 했다. 김 장관은 이를 위해 이날 간담회에서 한국무역보험공사와 한국원산지정보원 등 관계기관을 119 전담관으로 지정해 코트라와 함께 지원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

또 미국 정부에 대한 관세 애로 의견서 제출과 미국 관세청(CBP) 사전심사제도 신청, CBP 사후 검증 요구자료 대응 지원 등 새 서비스도 이달 중 개시하기로 했다. 철강 파생상품에 대한 기업 특화 지원 프로그램 추가 도입한다.

이날 간담회에는 항공, 자동차부품, 강관 등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및 그 파생상품 50% 관세 부과에 영향을 받는 기업 관계자가 참석해 이야기를 나눴다. 또 코트라가 연 철강 파생상품 관세 대응 설명·상담회에서 전문가의 발표를 듣고 대응 전략을 공유했다.

김 장관은 간담회에서 “통상환경 변화에 따라 현장 수요에 맞는 지원 방안을 찾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민·관 합동 수출 현장지원단과의 릴레이 간담회로 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이를 새 서비스와 정책에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