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美서 7300억 신규 수주

10 hours ago 3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미국 소재 제약사로부터 7300억여원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계약을 따냈다. 올 들어 두 번째 대규모 수주로, 증권업계에서는 올해 회사 매출이 작년보다 30% 가까이 오른 5조8784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8일 공시를 통해 미국의 한 제약사와 7373억원 규모의 CMO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지난 1월 유럽 소재 제약사와 역대 최대 규모인 2조747억원의 CMO 계약을 체결한 데 이은 올해 두 번째 계약이다. 누적 수주액은 2조8120억원으로 올 들어 4개월 만에 작년 연간 수주액(5조4035억원)의 절반 이상을 달성했다.

업계에선 세계 1위의 생산능력과 높은 품질, 발 빠르고 유연한 대응력을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수주 경쟁력으로 꼽았다. 이달 18만L 규모의 인천 송도 5공장이 가동되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 총생산능력은 78만4000L로 세계 1위를 굳건히 유지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배치(바이오의약품 1회분을 생산하는 단위) 생산 성공률은 99%로 업계 평균(90~95%)을 뛰어넘는다. 생산한 100배치 중 불량이 1배치에 불과하다는 의미다. 지난 3월 말 기준 누적 규제기관 승인 건수도 356건으로 업계 최고 수준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최근 항체약물접합체(ADC) 전용 생산시설 가동을 시작으로 다양한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구비했다. 또한 자율주행 운송로봇(AMR) 등 물류 자동화 시스템, 실시간으로 초기 데이터를 한데 모은 ‘데이터 레이크’ 등을 구축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다.

SK증권은 이날 보고서에서 기존 4공장의 가동률 증가 등 요인으로 올해 삼성바이오로직스 매출 전망치를 5조8784억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작년 매출보다 29.3% 증가한 수치다. 정유경 신영증권 연구위원은 “미국 수출 비중이 25%이고 유럽 비중은 65%여서 미국 관세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관세 부과 시 미국 내 CMO 공장들이 수출 대신 내수용으로 물량을 전환할 가능성이 커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한 유럽 등의 수요는 더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