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 인력 쟁탈전이 가열되고 있다.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는데 인력 풀은 한정적인 상황이 계속되고 있어서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창규 삼성자산운용 이사는 다음주부터 미래에셋자산운용으로 출근할 예정이다. 양사 간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임원급의 이직 사례여서 업계 주목을 받고 있다. 최 이사는 NH투자증권에서 파생상품 부문 ‘스타 애널리스트’로 이름을 알렸다. 2021년 삼성운용으로 이직한 뒤 유튜브 등을 활용한 ETF 마케팅을 담당해 왔다. 미래에셋운용에서는 ETF 운용 부문 내 신설되는 상품리서치본부장을 맡는다. ETF 시장 리서치와 상품 개발 등을 담당할 계획이다.
운용사들은 ETF 인력을 대거 보강하고 있다. 지난해 말 이경준 당시 미래에셋운용 상무가 키움자산운용으로 이직했고, 올해 초에는 김승현 한국투자신탁운용 부장이 하나자산운용 ETF 본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키움운용은 삼성운용에서 디지털마케팅을 맡을 인력 2명을 영입하는 등 인력 이동이 활발한 상황이다. 한 운용사 ETF 담당 임원은 “ETF 시장이 급성장하다 보니 한정된 인력 풀 안에서 뺏고 뺏기는 경쟁이 치열하다”며 “인덱스나 파생 운용역 등을 데려오는 경우도 많지만 이마저도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ETF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다. 국내 ETF 순자산은 2021년 말 74조원 수준이었지만 최근엔 200조원으로 불어났다. 이 기간 ETF 운용사는 18곳에서 26곳으로 늘었다. 상장 종목은 468개에서 987개로 두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마케팅 인력 수요가 크게 늘었다는 게 증권업계 설명이다.
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