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대신 '제초제' 뿌렸다…드론 살포에 농가 '날벼락'

2 days ago 6

실수로 살포된 제초제에 누렇게 말라버린 벼. /사진=연합뉴스

실수로 살포된 제초제에 누렇게 말라버린 벼. /사진=연합뉴스

농협이 주관한 벼 병해충 드론 방제작업 중 살충제가 아닌 제초제가 살포돼 수만평 논의 벼 잎이 말라 죽는 사고가 발생했다. 피해 면적만 14만 9000㎡(약 4만5000평)에 달했다.

7일 세종시와 전의농협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전의면 일대 농가 19곳에서 논에 심어 놓은 벼 잎이 누렇게 말라 고사하는 약해가 발생했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원인 파악에 나선 농협은 전날 진행한 병해충 드론 방제작업 과정에서 실수로 살충제가 아닌 제초제가 살포된 사실을 확인했다.

벼 잎이 말라 죽은 것은 제초제 성분인 티아페나실 때문으로 전해졌다.

당시 농협의 위탁을 받은 업체는 드론 17대를 동원해 전의면 일대 논 318만 5000㎡(약 66만 1000평)에 병해충 방제 작업을 했다.

이 가운데 드론 1대에서 제초제가 살충·살균제에 섞여 살포된 것으로 확인됐고, 농협은 급히 회복제를 뿌렸지만, 회생 여부는 장담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드론 방제를 맡겼다가 하루아침에 날벼락을 맞은 농민들은 면사무소와 농협을 찾아 항의하며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특히, 원액 제초제를 뿌렸기 때문에 내년 농사도 장담할 수 없다면서 토양 검사도 꼭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농협 측은 과실을 인정하고 오는 8일 피해 농민들과 만나 보상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농협 관계자는 "적절한 보상은 당연하다"면서 "정확한 방침은 내일 농민들과 간담회를 하고 나서 결정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