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공무원들 "환경부 보내달라"

5 hours ago 2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기능이 환경부로 이관되는 가운데 사무관·서기관 등 젊은 공무원 상당수가 새로 출범하는 기후에너지환경부로의 이동을 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관가에 따르면 산업부에서 기후부로 옮겨 갈 인원은 180명 안팎으로 전망된다. 전체 산업부 공무원 1000여 명 중 약 18%에 해당하는 규모다. 자원산업정책, 원전 수출 등 잔류하는 일부 기능을 제외한 에너지정책실 인력 약 170명이 주축이며, 기획조정실·대변인실 등 지원 인력 일부도 포함된다.

산업부는 최근 과장급 이하 공무원을 대상으로 잔류와 이동 중 무엇을 선호하는지 조사했다. 환경부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은 에너지정책실 소속 직원들에게 우선권을 줘 산업부 잔류 의사를 반영하기 위한 절차였다. 조사 결과 사무관·서기관급을 중심으로 이동 희망자가 잔류 희망자를 크게 웃돈 것으로 전해졌다.

젊은 공무원들이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선호하는 것은 ‘매머드급 부처’로 격상되는 점 때문이다. 에너지정책실 산하 5개 부서 16개 과가 기후부로 편입되고, 한국전력·한국수력원자력 등 21개 산하 공공기관도 소속이 기후부로 변경된다. 전기요금 결정 권한 역시 산업부에서 기후부로 이관된다.

승진이 더 빨라질 것이라는 기대도 깔려 있다. 산업부는 고시 출신이 많아 경쟁이 치열하고 인사 적체가 심한 부처로 꼽힌다. 국·실장급까지 오르는 데 평균 25년 이상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환경부는 고시 출신이 상대적으로 적어 사무관급의 승진이 더 빠르다는 평가가 나온다.

민간 이직 기회도 매력으로 꼽힌다. 에너지·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관련 전문성을 갖춘 인력에 대한 민간 수요가 늘고 있고, 이직 시 연봉이 수배 뛰는 사례가 나온다. 에너지정책실 소속 한 사무관은 “승진 기회가 비교적 빨리 오고 향후 커리어 확장 가능성도 커 이동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내부 조사 결과를 토대로 환경부와 협의한 뒤 행정안전부 승인을 거쳐 최종 이동 인원을 확정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은 기자 hazzys@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