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보단 '돈·집'에 관심 많은 한국인들, 결국…'충격 전망'

22 hours ago 4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금과 같은 저출산·고령화 추세가 이어질 경우, 100년 후 대한민국 인구가 현재의 15% 수준으로 급감할 수 있다는 충격적인 전망이 나왔다.

인구 전문 민간 싱크탱크인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은 2일 발간한 '2025 인구보고서: 대한민국 인구 대전환이 온다'에서 2025년부터 2125년까지 100년간의 장기 인구 변화를 코호트 요인법에 따라 추정한 결과를 발표했다.

코호트요인법은 출생, 사망, 국제이동 등 인구 변동 요인을 예측한 뒤 이를 기준 인구에 반영해 미래 인구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국제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인구 전망 기법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2125년 한국 인구는 극단적인 저위 시나리오에서 현재(5168만 명)의 14.6% 수준인 753만 명까지 줄어들 수 있다. 이는 현재 서울시 인구(933만 명)보다 적은 수치다. 중위 시나리오는 1115만 명, 고위 시나리오조차 1573만 명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감소 속도는 시간이 갈수록 가팔라질 것으로 전망됐다. 중위 시나리오 기준으로 2075년까지 인구가 약 30% 감소하고, 이후 50년 동안 인구가 절반 이상 줄어드는 급격한 하락세가 예상됐다. 이는 다음 세대의 출산 가능 인구 자체가 줄어들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인구 구조는 급격히 변할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2075년에는 '가오리형' 인구 피라미드였던 구조가, 2125년에는 모든 연령대가 좁아진 '코브라형' 형태로 바뀔 것으로 전망했다.

고령화 심화도 피할 수 없다. 보고서는 "2100년에는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이 노인 140명을 부양해야 하는 상황이 펼쳐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재는 100명이 노인 30명 정도를 부양하고 있지만, 시간이 갈수록 부양 부담이 생산인구를 압도하는 '역피라미드' 구조가 현실화된다는 설명이다.

또한 보고서는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게시된 약 6만 건의 글을 분석해 2040세대의 결혼·출산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결혼 관련 게시글에서는 ‘사랑’보다 ‘돈’, ‘집’이 더 자주 언급됐고, 출산 관련 글에서도 경제적 부담이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이는 결혼과 출산이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이 아닌 경제적 조건에 따라 좌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는 지적이다.

연구원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출산·양육 부담을 줄이기 위한 획기적인 지원 확대 △일과 가정의 양립 문화 정착 △정년 연장과 계속 고용 제도의 확산 △이민 정책의 재정비 등을 핵심 정책 방향으로 제시하며, 특히 "생산성 중심의 경제구조 전환" 필요성을 강조했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