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바다에 잠기다🤿…제임스 터렐 개인전 [영감 한 스푼]

4 hours ago 2

페이스갤러리 서울 ‘리턴’전

제임스 터렐의 2021년 설치 작품 ‘상상, 넓은 직사각형 곡면 유리(Imaginings, Wide Rectangular Curved Glass).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제임스 터렐의 2021년 설치 작품 ‘상상, 넓은 직사각형 곡면 유리(Imaginings, Wide Rectangular Curved Glass).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저는 여러분이 안개나 구름이 자욱한 곳을 비행하는 조종사가 되기를 바랍니다. 이럴 땐 앞에 보이는 것이 없으니, 계기판에 의존해야 하죠.

또는 눈보라가 몰아쳐서 온통 흰색만 보이는 곳에서 스키를 탄다고 생각해 보세요.”

미국 작가 제임스 터렐의 작품이 페이스갤러리 서울 개인전 ‘리턴’에서 전시되고 있습니다.

이 전시는 ‘글라스워크’ 연작 4점과 신작 ‘웨지워크’ 등 설치 작품 5점과 판화 20점을 소개합니다.

전시 개막을 앞두고 11일 한국을 찾은 터렐은 지평선이 사라지고 경계를 알 수 없는 어지러운 공간 속에서, 관객들이 내면에 각자 갖고 있는 ‘빛’을 발견하기를 바란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그 자세한 내용을 전해드립니다.

나의 인식이 세상을 구성한다


 79 minutes. 페이스갤러리 제공

James Turrell, After Effect. 2022, LED lights Site specific dimensionsRuntime: 79 minutes. 페이스갤러리 제공

터렐이 말한 내용 중 인상 깊었던 것은 ‘지평선(horizon) 없는 풍경’에 대한 비유였습니다.안개나 구름 속으로 들어가는 조종사, 눈보라로 온통 흰 풍경 속의 스키 타는 사람처럼 관객이 느끼기를 바란다는 것인데요.

터렐은 이런 공간에서 우리가 평소 당연하게 여겼던 세계관을 벗어나 ‘나’의 감각과 주변 관계에 집중하도록 만듭니다.

“중성 부력 벨트를 찬 잠수부가 물속에서 어떠한 미동도 없이 고요하게 머물고 있는 상황을 상상해 봅시다. 여기서 잠수부는 땅에 서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디가 위아래인지를 익숙한 감각으로는 알 수 없고, 공기 방울이 올라가는 방향을 보면서 그것을 구분하게 됩니다.

터렐의 말을 챗GPT를 시켜서 그림으로 표현해 보았습니다.

터렐의 말을 챗GPT를 시켜서 그림으로 표현해 보았습니다.

이렇게 ‘지평선을 잃게 되는 경험’은 최근 우리가 자주 보고 있는 현실이기도 합니다. 우주 공간에서 무중력 상태가 확실히 그렇고요. 인터넷 공간에서 생각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인류는 지평선이 없는 풍경 속으로 들어가는 법을 배우고 있죠.”

터렐이 말한 ‘지평선을 잃어버린 세상’은 달리 말하면 “나의 인식에 따라 구조가 결정되는” 세상입니다.

좀 더 풀어서 설명해 볼까요. 지평선이 있는 세상은 하늘과 땅, 위아래가 정해져 있습니다. 이런 이미 결정된 ‘세팅’ 안에서 인간은 하나의 부속품으로 살아가게 됩니다. ‘연역적 사고’로 빗대어 생각해 볼 수도 있겠죠.

그런데 지평선이 없는 세상에서는 ‘내’가 중심이 됩니다. 나를 중심으로 나와 관계 맺는 것들, 내가 느끼는 것들이 세상을 구성하게 됩니다. ‘귀납적 사고’로 구성되는 세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영화 ‘매트릭스’에서 주인공 네오가 오라클을 만나거나 정신을 집중해서 무언가를 생겨나게 하는 가능성의 공간인 ‘화이트룸’(The Construct)과 같은 것을 터렐은 현실에서 만들어 보려고 한 것입니다.

영화 ‘매트릭스’에서 ‘화이트룸’(The Construct)

영화 ‘매트릭스’에서 ‘화이트룸’(The Construct)

“어떤 사람들은 이 경험이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비행기를 타고 곡예비행을 할 때처럼 불쾌감을 느낄 수도 있죠.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곡예비행을 하는 사람들은 그 감각을 추구하고 즐기게 됩니다.

우리는 이런 지평선이 없는 세상으로 들어서고 있습니다. 때로는 어지러워 바닥에 주저앉아야 할 수도 있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긍정적인 감정들을 느끼게 됩니다. 이 전과 후의 차이는, 세상과 삶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깨닫는 것의 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질’로서의 빛을 재료로 하다

뮤지엄산 제임스터렐관에서 볼 수 있는 설치 작품 ‘간츠펠트’(Ganzfeld). 사진 성수영 제공.

뮤지엄산 제임스터렐관에서 볼 수 있는 설치 작품 ‘간츠펠트’(Ganzfeld). 사진 성수영 제공.

이렇게 지평선을 제거한 무한의 공간에 터렐이 집어넣는 것은 바로 ‘빛’입니다.

터렐은 빛이 무언가를 비추는 조명이 아니라 그 자체로 물질이라고 말합니다. 우리가 소리를 녹음해서 레코드나 음원 파일로 다시 듣는 것처럼, 터렐은 빛 그 자체를 조각처럼 빚어서 전하고 싶었다고 합니다.

(당신에게 빛은 물리적 재료인지, 철학적 도구인지 묻는 질문에 답)

“우선 빛은 물리적인 실체입니다. 광자를 질량을 갖고 있죠. 때로는 파동 현상을 보이지만 빛은 물리적 존재(thing)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빛을 덧없고 순간적인 형태로 보는 걸 더 좋아하고 그 자체에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독서할 때 책을 비추거나 회화, 조각을 밝히는 등 다른 것을 비추는 데 사용하는 정도였죠.

그렇지만 우리는 빛을 먹기도 합니다. 우리의 피부를 통해 자외선이 들어와서 비타민D를 만드니, 빛을 ‘먹는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빛을 제대로 먹지 못하면 뇌의 세로토닌 균형이 깨지고 우울증이 생기죠.

또 소리처럼 빛 역시 우리에게 감정적인 무언가를 전달합니다. TV 출연자들이 스튜디오에 나오기 전에 휴식과 안정을 취하는 방을 ‘그린 룸’이라고 하는 것처럼 말이죠. 빛은 영적인 의미도 갖고 있습니다. (영적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여겨지는) ‘루시드 드림(자각몽)’에서도 ‘빛’에 관한 표현이 쓰이죠.

저는 빛을 묘사하기보다 빛 자체를 사용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빛은 나무나 돌처럼 구부릴 수도 없고 점토처럼 형태를 만들거나 금속처럼 용접할 수도 없습니다. 실제로 빛을 만들어내는 어떤 도구가 필요합니다. 소리를 만들기 위해 바이올린, 트럼펫, 피아노, 하프, 리라 등 다양한 악기가 있는 것처럼요.

그래서 1960년대에는 ‘투영’ 시리즈를 만들었고, 이제는 LED 기술이나 컴퓨터로 제어하는 다이오드가 있으니 기술이 발전할 때까지 오래 살아 운이 좋았습니다.

이제 빛을 다루는 여러 도구가 만들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물리적 존재로 빛을 보여주는 것은 부족합니다.

고속도로에서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보고 멍해져서 꼼짝 못 하는 사슴을 상상해 보세요. 인간 역시 빛에 반응하는 존재입니다. 저는 빛의 힘이 그런 곳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자간담회 중인 제임스 터렐.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기자간담회 중인 제임스 터렐.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빛 한 조각 전하고 싶은 예술가

질의응답이 오가던 막바지. 터렐은 하고 싶은 말이 있다는 듯 손을 들어 보이고 이렇게 말했습니다.

“몇 마디 덧붙이고 싶습니다. 많은 이야기를 했는데 저는 그저 빛 한 조각을 전하고 싶었던 평범한 예술가 한 사람입니다.

저는 여러분이 빛 자체를 경험하길 바랍니다. 모든 작품이 성공적이지는 못하지만 그게 인생이죠.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보여드리는 것이고, 단지 제가 보여주고 싶은 건 빛에 대한 사랑, 예술에 대한 사랑입니다.

한국은 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문화를 만들고 있습니다. 대중음악이나 케이팝부터 클래식 음악가까지 다양한 곳에서 한국인들이 한계를 뛰어넘고 있습니다. 저도 제 일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그래서 한국인들이 정말 멋지다고 말하고 싶었습니다.”

제임스 터렐 개인전 ‘리턴’ 전시 전경.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제임스 터렐 개인전 ‘리턴’ 전시 전경.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 ‘영감 한 스푼’은 예술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창의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미술계 전반의 소식을 소개하는 뉴스레터입니다. 매주 목요일 아침 7시 발행됩니다.

▶뉴스레터 구독 신청
https://www.donga.com/news/Newsletter

영감 한 스푼 >

구독

이런 구독물도 추천합니다!

  • 새로 나왔어요

    새로 나왔어요

  • 전승훈 기자의 아트로드

    전승훈 기자의 아트로드

  • 주성하의 ‘北토크’

    주성하의 ‘北토크’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