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부안 적벽강의 독특한 모양의 화산암이 천연기념물이 된다.
![]() |
부안 격포리 페퍼라이트. (사진=국가유산청) |
국가유산청은 ‘부안 격포리 페퍼라이트’, ‘부안 도청리 솔섬 응회암 내 구상구조’를 국가지정유산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9일 밝혔다.
‘부안 격포리 페퍼라이트’는 변산반도 서쪽 끝에 위치한 적벽강 해안가 절벽을 따라 상부의 곰소유문암층(화산암층)과 하부의 격포리층(퇴적암층) 경계 사이에 두께 약 1m 내외의 층이다.
페퍼라이트(peperite)는 화산암과 퇴적암이 파편처럼 한데 섞인 암석이다. 뜨거운 용암이 물 또는 습기를 머금고 아직 굳지 않은 퇴적물을 지나가면, 용암의 열기로 퇴적물 내 수분이 끓어오르고 수증기가 폭발하면서 퇴적물과 용암이 뒤섞이고 굳어져 만들어진다. 그 모습이 후추(pepper)를 뿌린 것 같이 보인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이 지역은 페퍼라이트의 전형적인 특징과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구조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곳이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암석 경계를 따라 얇은 띠형태로 생성되는 페퍼라이트와는 달리 국내에는 보기 드물게 두꺼운 규모로 산출되어 지질유산으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 |
부안 도청리 솔섬 응회암 내 구상구조. (사진=국가유산청) |
‘부안 도청리 솔섬 응회암 내 구상구조’는 부안군 변산변 소재지로부터 남서쪽 6㎞ 지점의 수락마을 앞바다에 있는 섬으로 썰물 시 육지와 연결되는 곳이다.
솔섬은 후기 백악기(약 8700만 년 전) 부안 지역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졌다. 섬 상부에 서식하는 소나무로 인해 ‘솔섬’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낙조로도 유명한 지역이다.
솔섬 하부의 응회암 내에는 포도송이와 같은 형태의 다량의 구상구조가 발견되는데 이는 국내·외에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화산암 구조로 알려져 있다. 이 구상구조는 응회암이 단단히 굳기 전 열수(많은 유용광물이 녹아있는 뜨거운 용액)가 모암을 뚫고 지나가면서 열수 내 철산화물이 침전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독특한 화산암 구조로 지질학적 가치가 높다.
국가유산청은 ‘부안 격포리 페퍼라이트’, ‘부안 도청리 솔섬 응회암 내 구상구조’에 대해 30일간의 예고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자연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