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손보 여파…“보험 업계 킥스·자본 확충 계획 점검해야”

2 days ago 7

[이데일리 마켓in 김연서 기자] 올해 상반기 롯데손해보험이 후순위채 콜옵션(조기상환권)을 행사하지 못하면서 보험사의 지급여력(K-ICS·킥스) 비율 관리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오는 2026년부터는 콜옵션 만기가 집중적으로 도래할 예정이라 개별 회사의 자본 확충 계획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보험사 자본성증권 분기별 콜옵션 만기 도래 금액.(자료=한국기업평가)

18일 송미정 한국기업평가 수석연구원은 이날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한국기업평가 크레딧 세미나에서 “2025년 5월 롯데손해보험이 조기상환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며 “이에 후순위채 조기상환을 연기하면서 콜옵션 리스크가 부각됐다”고 밝혔다. 그간 관행으로 여겨지던 5년 조기상환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면서 리스크가 부각됐단 설명이다.

국내 보험사가 발행하는 후순위채는 보통 10년 만기, 신종자본증권은 30년 만기로 설정되며 발행 후 5년 차에 콜옵션이 부여된다. 콜옵션 행사는 법적으로 의무화돼 있지는 않지만 투자자들은 대부분 5년 시점에 상환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투자해왔다. 이 때문에 조기상환은 사실상 시장의 ‘불문율’로 자리잡았지만 롯데손보 사례는 이러한 관행이 언제든 깨질 수 있음을 보여준 셈이다.

금융당국은 감독규정을 통해 자본성 증권의 조기상환 요건을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킥스 비율이 상환 후에도 130% 이상으로 예상될 경우에는 대체 조달 없이도 콜옵션 행사 승인이 가능하다. 그러나 130% 미만일 것으로 예상될 경우에는 반드시 동질 혹은 양질의 자본으로 대체해야만 승인을 받을 수 있다. 롯데손보는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결국 상환 승인을 받지 못했고, 조기상환 연기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문제는 앞으로다. 한기평은 내년부터 콜옵션 도래 규모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2026년 2분기와 2027년 상반기에만 각각 2조원 이상이 만기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콜옵션 행사 시점이 특정 분기에 집중되면 자본 여력이 부족한 보험사들은 상환을 제때 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송 연구원은 “개별 회사의 자본 관리 능력에 따라 조기상환 실패 이슈가 재차 불거질 수 있다”며 “콜옵션 도래 일정을 회사별로 점검하고, 킥스 비율과 자본 확충 계획을 미리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금융당국이 기본자본 킥스 규제를 도입하겠다고 예고하면서 부담은 더 커지고 있다. 현재 일부 보험사는 기본자본 비율이 50% 미만으로 떨어져 규제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다. 50~70% 구간에 있는 회사들도 안정적인 자본 관리를 위해 추가 확충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송 연구원은 “업계 전반적으로 자본 확충 수단이 제한적이어서 기본자본 규제가 시행되면 대응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며 “충분한 유예기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