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에 ‘이것’까지 겹치자…1분기에만 서울아파트 거래 2만건

3 weeks ago 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과 토지 거래 허가 구역 해제로 1분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약 2만 건에 육박하며, 이는 2021년 1분기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특히 강남 3구의 토지 거래 허가 구역 해제로 2월과 3월 아파트 거래량이 급증했지만, 이후 토지 거래 허가제가 확대되면서 거래 시장이 다시 위축되고 있다.

4월 거래량은 이제까지 2166건에 불과하며, 2월과 3월의 거래량을 초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금리 인하 기대감과 더불어 한때 토지거래 허가 구역이 해제되면서 1분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약 2만 건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1분기(1∼3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만9376건으로 집계됐다. 1분기 기준으로 지난 2021년 1분기(1만3799건) 이후 4년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월별로 보면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1월까지 5개월 연속 3000건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서울시가 지난 2월 12일부터 3월 23일까지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에 대한 토지 거래 허가 구역을 약 한 달간 해제하자 2월 6441건, 3월 9511건으로 가파르게 늘었다. 2월과 3월 거래량은 각각 전월 대비 88.1%, 47.7% 증가한 수치다.

3월 거래량은 2020년 7월(1만1139건) 이후 4년 8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강남 3구를 중심으로 신고가가 속출하며 서울 아파트의 평균 거래 금액 자체도 올랐다. 서울의 지난 2월 평균 거래금액은 14억6676만원으로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자료가 공개된 2005년 7월 이후 최고가다.

대표적으로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는 지난달 3일 ‘국민평형’이라 불리는 84㎡ 타입이 70억원에 거래되기도 했다. 공급면적 기준으로 3.3㎡ 2억661만원에 거래되면서 국민평형 최초로 2억원을 넘긴 것이다.

다만 지난달 24일부터 강남 3구와 용산구로 토지 거래 허가 구역이 확대·재지정되면서 서울 아파트 시장은 크게 주춤하는 모습이다. 토지 거래 허가제가 강남 3구와 용산구로 확대·재지정된 3월(13억5787만원) 평균 거래 금액이 전월 대비 7.4% 하락하면서다.

매매 거래도 4월 들어서는 급감하고 있다. 지난 26일 기준으로 이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166건에 불과하다.

업계에서는 이달 거래 자료 집계가 완료된다고 해도 2월이나 3월의 거래량을 뛰어 넘기는 힘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