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중국 등으로 불법 유출될 위험성이 높은 첨단 칩에 위치추적장치를 삽입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13일(현지시간) 로이터가 소식통을 인용한데 따르면, 미국은 특정한 선적에 대해서 미국의 수출제한 대상지로 AI칩이 유출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이 같은 조치에 나섰다고 밝혔다.
익명을 요구한 이들 소식통은, 이 같은 추적 방식은 미국 수출 통제를 위반해 이득을 얻는 개인과 기업에 대한 법적 조치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치 추적기는 미국 법 집행 기관이 항공기 부품 처럼 수출 제한 대상 제품을 추적하기 위해 수십년간 사용해왔으며 최근 몇 년 동안은 반도체 불법 유출을 단속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I서버 공급망에 참여하는 또 다른 소식통에 따르면, 이들은 델이나 슈퍼마이크로컴퓨터처럼 엔비디아나 AMD의 칩을 사용하는 업체의 서버 배송시 추적 장치가 사용되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추적 장치가 보통 배송되는 서버안에 숨겨져 있으며 그 추적 장치를 누가 설치하고 어느 지점에 설치됐는지는 알 수 없으나 대개 서버 배송상자 및 포장내부, 서버 자체 등에 부착됐다고 전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칩 리셀러들이 델과 슈퍼마이크로의 서버에서 추적 장치를 제거하는 사진과 영상을 봤으며, 일부 추적 장치는 스마트폰 정도로 큰 것도 있었다고 언급했다.
AI 칩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는 미국은 지난 2022년부터 중국의 군사 현대화를 억제하기 위해 중국에 대한 첨단 반도체 및 기타 기술 수출을 제한해 왔다.
그럼에도 미국 첨단 AI칩의 중국내 밀수는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는 지난 1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UAE 등의 국가를 통해서 중국으로 조직적으로 AI칩이 밀수되는 것이 추적됐다고 보도 했다.
백악관과 미국 의회는 엔비디아 등 미국 칩 회사에 위치 확인 기술을 포함하도록 요구해, 우회 유입을 방지하는 방안도 추진중이다.
중국은 미국이 첨단칩에 위치 추적 기능을 부착하려는 것과 관련, 지난 달 엔비디아에 대해 보안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또 보안 이유를 들어 최근 중국 기업들에 엔비디아 칩을 쓰지 말라고 공문을 보내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엔비디아는 현재까지는 원격 접근을 제어하는 백도어 기능이 없다며 강력히 부인하고 있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