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는 인천계양 등 3기 신도시의 공원·녹지 공간을 활용해 총 225만㎡(축구장 약 315배 규모)에 약 18만 그루의 나무를 식재할 계획이다. 공기정화 도시숲은 나무의 잎과 줄기, 가지 등의 기공을 통해 대기 중 유해물질을 흡수·흡착하는 기능을 활용한 녹지공간으로, 대기 질 개선을 위한 수단 중 하나다.
공기정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공원·녹지 식재 면적의 40% 이상에 기존 설계 기준 대비 두 배 이상 많은 큰 나무를 군락 형태로 심는다. 자귀나무, 참나무 등 미세먼지 제거 효율이 높은 수종을 집중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라고 한다.
국립산림과학원 자료에 따르면 1헥타르의 숲은 연간 46㎏의 미세먼지를 흡수하고, 미세먼지는 40.9%, 초미세먼지는 25.6% 저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조성되는 도시숲은 경유차 6000대 분량에 해당하는 연간 미세먼지 약 1만㎏을 줄이고 온실가스는 약 2500톤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LH는 도시숲의 화재 대응력도 강화한다. 최근 잦아진 산불 상황을 고려해 불에 약한 침엽수 대신 단풍나무, 굴참나무 등 산림청이 권고하는 36종의 내화수종을 혼합 식재하며, 전체 수종 중 내화수종 비율을 약 27%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박동선 LH 국토도시본부장은 “3기 신도시에 조성되는 도시숲은 입주민에게는 공기정화 기능을 제공하는 ‘그린 마스크’가 될 것”이라며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탄소중립 도시 구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황소영 기자 fangso@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