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정보기술(IT)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을 제대로 육성하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GNI)이 4만달러로 올라설 수 있다는 분석 보고서가 나왔다.
7일 국가통계연구원의 ‘대한민국, 서비스 산업으로’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1인당 GNI 증가를 더디게 하는 주된 요인은 전문과학, IT 등 고부가가치산업으로의 전환 속도 때문으로 분석됐다.
한국은 2012년 처음으로 1인당 GNI 3만달러 시대를 열었으나 12년째 4만달러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6745달러에 그쳤다.
미국은 정보통신기술과 과학기술 중심 고부가가치 산업 성장에 힘입어 2000년 1인당 GNI 3만달러 시대를 연 후 7년 만인 2007년 4만달러를 돌파했다. 영국은 법률·금융 전문서비스업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을 앞세워 3만달러 진입 2년 만에 4만달러를 기록했다. 임경은 통계청 경제통계기획과장은 “우리나라는 미국에 비해 도소매, 숙박 음식 등 업종에 종사하는 비임금 근로자가 많고, 정보통신·전문과학 서비스업 비중이 작다”며 “고부가가치 중심으로 전환되기까지 갈 길이 멀다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우리나라와 선진국 간 서비스업 비중을 비교해보면 2021년 기준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서비스업 비중은 59.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70.1%)보다 10.7%포인트 낮았다. 미국(77.6%), 영국(79.3%) 등과 비교하면 크게 낮은 비중이다. 유형별 서비스업 비중을 미국과 비교해보면 부동산(-5.5%포인트), 전문과학(-1.9%포인트), 정보통신(-0.9%포인트), 사업지원(-0.8%포인트) 등이 미국보다 낮았다. 반면 교육(6.0%포인트), 도소매(0.7%포인트), 숙박 음식(0.4%포인트) 등은 우리나라가 높았다.
임 과장은 “디지털 전환을 활용한 서비스업의 고부가가치화 전략이 필요하다”며 “우리나라도 미국과 영국처럼 국민소득 4만달러를 돌파하기 위해서는 국가 산업 경쟁력을 향상하고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경제의 성장 속도를 높여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