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정부가 차기 대통령 선출 때까지 약 두 달 간 내수부진-트럼프리스크에 따른 ‘비상경제’ 관리 모드에 돌입한다. 정치적 불확실성은 걷혔지만, 경제부처가 ‘원팀’돼 국가신인도 사수에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 |
(사진=연합뉴스) |
이번 주는 오는 7일, 11일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기획재정부에서 각각 최근 경제동향을 내놓는다. 헌법재판소가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파면 선고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은 사라졌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수출둔화, 내수침체 등 경기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 KDI는 지난달 10일 ‘2월 KDI 경제동향’을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생산 증가세가 완만한 수준에 머무른 가운데, 대외 여건 악화로 경기 하방 위험이 높아지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이후 3월 11일 수정전망을 통해 올해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0%에서 0.4%p(포인트) 낮춘 1.6%로 예상했다. 대내적으로는 정국 불안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이, 대외적으로는 미국의 정책 변화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가 이번 하향 조정의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정부도 KDI와 비슷한 전망을 내놨다. 기재부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2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애로가 지속된 가운데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정부는 이번 주에도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가 우리 경제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관련 대응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8일 ‘대외경제자문회의’를, 11일에는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한다. 정부는 내주 자동차 산업 지원 대책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대책에는 3조원 규모의 정책금융 조성 등의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김범석 기재부 1차관은 11일 ‘물가차관회의’를 연다. 미국의 상호관세와 최근 식품업계 가격 인상 등으로 인해 물가 상승 압력이 강해진 상황에서 대응 방안을 고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재부는 8일 ‘2024회계연도 국가결산’을 국무회의에 보고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국가부채와 재정수지 적자 규모가 확정된다. 작년 실질적 나라살림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 적자 규모는 91조 6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앞서 정부가 예상한 적자 규모 수준이다. 관리재정수지가 100조원을 넘을지 관심이다. 2023년 기준 국가채무는 1127조원, 관리재정수지는 적자 규모는 87조원이었다.
마지막으로 통계청은 9일 ‘3월 고용동향’을 발표한다. 취업자 수는 1월(13만5000명)과 2월(13만5000명)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건설업, 도소매업 등 일부 업종과 청년층에서는 고용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다음은 기재부, 통계청,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주간 주요 일정 및 보도 계획이다.
◇주간 주요 일정
△7일(월)
14:00 모듈러주택 현장방문(부총리, 비공개)
△8일(화)
10:00 국무회의(부총리, 서울)
15:00 대외경제자문회의(부총리, 비공개)
△9일(수)
14:40 사과농가 현장방문(부총리, 비공개)
△10일(목)
09:00 차관회의(1차관, 서울)
14:30 창업인프라 현장방문(부총리, 비공개)
△11일(금)
09:30 대외경제장관회의(부총리, 서울)
10:00 물가관계차관회의(1차관, 서울)
14:00 2030 자문단 ‘미래세대와의 대화’(부총리, 비공개)
◇주간 보도 계획
△7일(월)
12:00 KDI 경제동향(4월호)
14:00 한일중 및 아세안+3 재무차관 및 중앙은행부총재회의 참석
16:00 최상목 부총리, 모듈러 주택 현장 방문
△8일(화)
11:00 2024회계연도 국가결산 국무회의 심의·의결
11:00 2024회계연도 성과목표관리 결과 국무회의 보고
16:30 대외경제 자문회의 개최
△9일(수)
08:00 2025년 3월 고용동향
09:00 2025년 3월 고용동향 분석
09:00 아시아개발은행 2025년 아시아경제전망 발표
16:00 최상목 부총리, 사과농가 현장방문
16:00 ‘원스톱 수출 119’ 사천 국가산단 수출기업 간담회 개최
△10일(목)
10:00 한일중 및 아세안+3 재무차관 및 중앙은행부총재 회의 결과
10:00 2025년 4월 재정동향(2월말 누계기준)
16:00 최상목 부총리, 창업인프라(TIPS타운) 현장방문
△11일(금)
10:00 2025년 4월 최근 경제동향
11:00 247차 대외경제장관회의 개최
11:00 제42차 물가차관회의 개최
15:30 2030 자문단과 함께하는 ‘미래세대와의 대화’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