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 지출액 54만원…해외 ‘1/4’
2명 중 1명 ‘높은 관광지 물가’ 불만
국내 여행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관광지 물가 관리’와 ‘콘텐츠 개발’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해외여행 선호도 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2일 밝혔다.
국내여행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39.0%로 해외를 선호한다는 응답(38.4%)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그러나 연령대별로는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20대 이하는 해외여행 선호 비중이 48.3%로 국내여행(28.6%)의 1.7배에 달하는 반면 50대는 국내여행 선호 비중이 42.7%로 해외여행(34.9%)보다 높았다. 젊은 층은 해외여행을, 5060 세대는 상대적으로 국내를 선호하는 것이다.
국내 선호 이유로는 ▲시간과 비용 부담이 적어서(32.8%) ▲준비나 이동이 간편하고 부담이 없어서(30.1%) ▲언어나 문화 차이가 없어서(9.4%) ▲원하는 일정대로 유연하게 여행할 수 있어서(8.3%) 순으로 나타났다.
해외여행 선호 이유는 ▲새롭고 이색적인 경험을 할 수 있어서(39.1%) ▲볼거리·관광명소가 다양해서(28.1%) ▲국내여행보다 비용 대비 만족도가 높아서(14.8%) ▲맛집·쇼핑·액티비티 등 즐길거리가 많아서(7.6%) 등이 꼽혔다.응답자 대부분은 올해 국내 및 해외여행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여행을 계획 중인 응답자는 87.6%, 해외여행 계획이 있다는 응답도 60.4%로 과반을 넘었다.국내여행의 1회 평균 지출액은 54만3000원으로 해외여행(198만2000원)의 약 4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여행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평균 8.3점으로, 해외여행의 8.7점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여행이 해외여행에 비해 만족스럽지 않은 이유로는 ▲높은 관광지 물가(45.1%) ▲특색 있는 지역 관광 콘텐츠 부족(19.4%) ▲관광지의 일부 지역(서울·제주·부산 등) 집중(9.0%) 등이 꼽혔다.
국내여행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관광지 바가지 요금 방지를 위한 제도적 관리 강화’가 35.6%로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이어 ▲지역별 특화 관광 콘텐츠 개발 및 홍보 지원(18.6%) ▲관광지 대중교통 연계망 및 이동 인프라 확충(16.2%) ▲지역화폐·관광 바우처 등 관광 소비 지원금 제공(11.3%) 등의 순이었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